산업 산업일반

해외진출 금융기업 70% “해외수익비중 3%에도 못 미쳐”

대한상의 조사…”규제완화 및 선진화로 글로벌 금융사 육성해야”

해외에 진출한 국내 금융기업 10곳 중 7곳은 정작 해외수익 비중이 전체 수익의 3%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조사됐다.

13일 대한상공회의소가 해외진출 국내 금융사 72곳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지난해 전체 수익 대비 해외시장에서 거둔 수익비중에 대해 ‘1% 미만’이라는 응답이 38.7%, ‘1~3% 미만’이라는 답변이 30.7%로 집계됐다. 반면 ‘3~5% 미만’은 16.7%, ‘5~7% 미만’은 5.5%, ‘7~10% 미만’이라고 답한 곳은 5.6%에 그쳤다. 결국 해외에 진출한 금융기업의 70%는 현지에서 벌어들인 수익이 전체 수익의 3%에도 못 미치는 저조한 성과를 기록하고 있는 셈이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금융사들의 해외진출이 꾸준히 늘고 있지만 현지영업의 어려움과 까다로운 현지감독 규정 등으로 아직 가시적인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며 “금융규제 완화와 인수합병(M&A) 자금 지원, 진출국에 대한 정보 제공 등 정부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해외진출을 결심한 가장 큰 이유로 절반이 넘는 기업들은 ‘수익구조 다변화’(51.4%)를 첫 손에 꼽았다. 또 ‘미래 성장동력으로 기대’(29.2%), ‘국내 금융시장 포화’(8.3%), ‘경영진 의지’(5.6%), ‘국내시장 규제강화’(4.1%) 등을 차례로 들었다.

관련기사



해외진출 시 겪은 애로사항으로는 ‘진출국 관련정보 부족’(35.9%)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해외진출 관련 규제’(25.2%), ‘경영진 인식 부족’(20%), ‘전문인력 확보’(18.9%) 등이 뒤를 이었다.

선호하는 해외 진출방식에 대해선 많은 기업들이 ‘현지 금융사와 전략적 제휴’(39.1%)를 꼽았다. 이어 ‘지점ㆍ현지법인 등 직접 설립’(27.2%), ‘현지 금융사 M&A’(17.5%), ‘현지 금융사에 지분투자’(11.3%)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향후 가장 유망한 해외진출 지역에 대해선 대부분 동남아시아(50.3%)와 중국(35.8%)을 지목해 아시아지역 편중현상이 심각했다. 반면 북미(6%)와 중남미(4.3%), 아프리카(2%) 등을 꼽은 기업들은 소수에 그쳤다.

국내 금융사의 성공적인 해외진출을 위한 과제로 가장 많은 기업들은 ‘중장기적인 목표수립’(51%)를 꼽았고, 이어 ‘글로벌 전문인력 육성’(26.5%), ‘핵심역량 강화를 위한 노력’(14.4%) 등을 차례로 답했다. 글로벌 금융사 육성을 위한 정책과제로는 ‘규제완화 및 선진화’(37.4%), ‘금융시장 인프라 확충’(22.5%), ‘국내 대형 투자은행 육성’(16.6%), ‘글로벌 인재확보 및 양성’(13.9%) 등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전수봉 대한상의 조사1본부장은 “금융사의 국제화 수준을 나타내는 초국적화지수(TNI)가 글로벌 금융사들은 60%를 웃돌지만 국내기업은 평균 3.8%에 불과한 실정”이라며 “새 정부가 ‘금융 한류’를 신성장동력으로 내걸고 있는 만큼 금융분야 경제외교 강화, 대형 투자은행 육성 등 다양한 지원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현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