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부산·경남 식수댐 싸고 분쟁 조짐

부산시 남강댐 물 상수원 공급 추진에 경남도 "수량 모자라" 반발<br>울산선 대암댐 식수용 전환 놓고 주민들 거센 반대


부산ㆍ경남ㆍ울산지역에서 최근 들어 식수댐 사용을 둘러싼 분쟁이 본격화 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경남에 위치한 남강댐 물을 부산시민의 식수로 끌어 오려는 계획에 대해 경남도가 크게 반발하고 있고 울산에서는 공업용수로 건설된 대암댐을 식수댐으로 전환하려는 계획을 놓고 지역 주민들의 반대가 거세다. 11일 부산시ㆍ울산시 경남도 등에 따르면 국토해양부는 최근 부산ㆍ경남권 광역상수도사업의 설계비 및 공사비로 50억원을 반영한 내년도 예산안을 마련해 기획재정부에 제출했다. 이 예산은 남강댐의 여유수량을 1일 65만t으로 추산해 남는 물을 부산과 경남 창원, 양산, 함안에 공급하기 위한 상수관로 설계비 및 공사비 가운데 일부다. 전국에서 유일하게 강(낙동강)의 하류를 식수원으로 사용하는 부산시의 입장에선 광역상수도망을 통해 남강의 맑은 물을 상수원으로 공급받을 수 있는 길이 트였다는 점에서 크게 환영하는 분위기다. 하지만 경남도는 국토부의 계획이 현실성이 없다며 반대입장을 분명히 하고 나서 양 지역간 상수원을 둘러싼 마찰이 우려된다. 특히 김두관 경남지사도 남강댐 물의 부산공급에 대해 강력한 반대 입장을 밝혔다. 김 지사는 지난 7일 "남강댐 물의 부산공급은 경남도가 협조하지 않으면 정부가 수행할 수 없는 사업"이라며 "정부가 추진하는 남강댐 물의 부산공급 계획에 대해 강력히 반대한다"고 말했다. 이어 "남강댐 수량을 분석한 결과 도저히 부산에 줄 물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부산에 물을 빼내려는 정부의 시도를 경남도가 앞장서서 막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울산에서는 공업용수댐인 '대암댐'의 식수댐 전환문제로 마찰을 빚고 있다. 대암댐을 식수댐으로 전환할 경우 이 일대가 상수도보호법을 적용받게 돼 개발제한 등 다양한 제한을 받게 된다. 울주군 삼동면 주민들은 지난 8일 울산시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지난 1968년 대암댐 건립으로 피해를 입은 주민들이 대암댐 물의 식수 전환으로 다시 한 번 피해를 입게 됐다"며 식수전환 계획 철회를 강력하게 요구했다. 주민들은 "대암댐 건설로 마을 일부가 수몰되고 주민들은 고향을 떠났으며, 연무현상으로 농작물 재배가 힘들어지는 등 수십년 동안 재산권 피해를 받아 왔다"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업용수인 대암댐을 식수로 전환한다면 상수도보호법에 따라 삼동면 주민들은 재산권을 박탈당할 수 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