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건교부, 철도·화물연대 파업 비상교통대책 마련

건설교통부는 오는 16일 예정된 철도노조의 불법파업과 화물연대의 운송거부에 대비해 13일 비상교통대책을 마련했다. 건교부는 철도노조와 화물연대가 집단행동에 들어갈 경우 수도권전철 237만명, 지역간 여객 31만명 등 하루 평균 269만명의 여객수송과 7,870TEU(20피트 짜리 컨테이너)의 컨테이너 화물운송이 차질을 빚을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 따라 건교부는 이들 단체가 집단행동에 들어갈 경우 ‘정부 합동 비상교통대책’을 즉시 시행하기로 했다. 비상교통대책에 따르면 파업기간 중 열차의 경우 철도공사 비노조원 416명과 군인 370명, 기관사 경력자 118명 등 총 904명의 대체인력을 투입, 평시 대비 33% 수준의 열차운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했다. 파업기간 열차 종류별로 KTX는 36.8%, 일반여객열차 16.2%, 수도권전철 51.9%(서울메트로 포함), 화물열차 17.6% 수준으로 운행될 전망이다. 수도권전철 운행구간에서는 서울메트로 지하철 증회 운행, 버스 노선연장 및 증편운행, 셔틀버스(전세버스) 운행, 택시부재 해제 등이 실시된다. 화물연대 차량의 운행중단으로 수송차질이 예상되는 컨테이너화물에 대해서는 화물연대 미가입차량과 자가용 화물차, 군위탁 컨테이너화물차 등을 최대한 활용하기로 했다. 다만 건교부는 일반화물의 경우 화물연대 가입차량이 전체의 3.4%에 불과하고 시멘트 수송도 재고량이 170만톤에 달해 운송거부가 1주일 이상 장기화되지 않으면 수송차질은 미미할 것으로 내다봤다. 하지만 화물연대가 불법 운송방해 행위에 나설 경우 운송차질이 심각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철도노조와 화물연대는 각각 코레일, 건교부와의 향후 교섭일정을 아직 확정하지 못했으며 막판 교섭에 나서더라도 합의를 기대하기 어려워 16일 집단행동에 돌입할 가능성이 매우 높은 상황이다.

관련기사



이재용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