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새벽 화물운송 거부사태의 종결과 관련, 각계에서는 “공권력 투입직전에 늦게나마 대화로 해결됐다”며 환영의 뜻을 표시하면서도 향후 이 같은 사태가 재발하지 않도록 후속조치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특히 노동계의 춘투시즌을 앞둔 가운데, 정부가 집단행동 사태에 대해 사전예방은 물론 대처과정에서도 우왕좌왕한데다 사태가 커지자 큰 폭으로 양보한 점은 재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우선 물류대란으로 직격탄을 입었던 기업들은 철강, 전자, 자동차 등 업종을 막론하고 쌍수를 들어 환영했다. 포스코의 한 관계자는 “운송거부 사태로 재고가 쌓이고 생산에도 차질이 빚어졌지만 더 심각한 사태가 발생하기 전에 문제가 해결됐다”며 안도했다. 삼성전자의 한 관계자도 “작년 10월 미국 LA 항만노조가 보름간 파업한 뒤 정상화하는 데만 두달이 걸렸지만 우리는 단기간에 정상화될 것으로 본다”며 “지난 9일부터 적체된 컨테이너 박스 350개 분량의 경우 1주일 정도면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문제의 근본적 해결을 위한 체계적인 대책마련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높았다. 검찰의 한 관계자는 “공권력 투입으로 문제가 해결됐다면 후유증이 대단히 컸을 것”이라며 “이번에 대화와 타협에 무게를 두는 새 정부의 노동관을 보여준 것은 긍적적이나 조기에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체계적인 시스템을 마련해야 하는 과제를 안게 됐다”고 말했다. 경실련 고계현 실장은 “이번 합의는 물류체계 중단이란 위기상황을 피하기 위한 조치로 범정부 차원에서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화물운송체계를 선진화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회사원인 송태희(33ㆍ서울 성동구 행당동)씨는 “정부는 이번 사태의 원인중 하나인 불합리한 지입제 문제 등을 미리 해결하지 않은데다 문제가 불거진 뒤 보고체계와 부처간 협조, 대처과정에서도 상당히 미흡했다”고 비판했다.
한편 증권가에서는 물류대란 해소와 관련, “관련업종엔 긍정적으로 작용하겠지만 전체적으로는 증시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못할 것(대한투신 손명철 애널리스트)이라는 다소 유보적인 반응이 나왔다. 또한 “우리 경제에 미치는 피해와 불안감은 지속될 것(LG경제연구원 신민영 경제분석팀장)”이라는 분석도 제기됐다.
<고광본기자 kbgo@sed.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