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삼성, 잡스 추도식 날 애플에 전면전

판매금지 가처분신청


삼성전자가 프랑스와 이탈리아에 이어 일본과 호주에서도 애플 '아이폰4S'에 대해 판매금지 가처분 소송을 제기했다. 일본의 경우 아이폰4S 외에도 기존 제품인 아이폰4ㆍ아이패드2에 대한 제소가 포함돼 있다. 삼성전자는 17일 일본 도쿄 법원과 호주 뉴사우스웨일스 법원에 애플 아이폰4S를 대상으로 판매금지 가처분 소송을 냈다고 밝혔다. 삼성전자는 또 지난 13일 호주 법원이 내린 '갤럭시탭 10.1' 판매금지 가처분 판결에 대해서도 항소했다. 삼성전자가 애플로부터 침해 당했다고 주장한 특허는 호주의 경우 광대역코드분할다중접속(WCDMA)과 고속패킷접속(HSPA) 등 3세대 이동통신 표준특허 3건이며 일본의 경우 HSPA 표준특허와 휴대폰 사용자인터페이스(UI) 관련 상용특허 등 3건이다. 삼성은 그동안 3세대(3G) 이동통신 표준과 관련한 특허로 애플을 압박해왔으나 이번 제소에는 스마트폰 사용자인터페이스(UI)와 관련된 특허를 포함하는 등 승소를 위해 소송전략을 세밀히 가다듬었다. 삼성이 일본에서 애플에 침해 당했다고 주장한 특허 가운데 ▦비행모드 아이콘 표시 특허 ▦사용자 중심의 홈스크린 공간활용 특허 ▦앱스토어 카테고리별 트리구조 표시 특허 등 UI 관련 특허 3건이 포함된 것이다. 호주에서는 ▦데이터 분할전송시 각 데이터에 특정부호를 부여하는 기술 ▦음성·데이터 송신시 우선순위가 낮은 데이터의 송신전력을 낮추는 기술 ▦데이터 송신 전 중요정보가 아닌 데이터를 삭제하는 기술 등 이동통신 표준 관련 특허 3건에 대한 침해를 주장했다. 특히 삼성은 이날 이재용 삼성전자 사장이 미국 스탠퍼드대에서 열리는 스티브 잡스 애플 창업자 추모식에 참석하는 동안 소송을 제기해 기존의 강공 입장을 재확인했다. 삼성전자는 소장에서 "애플 제품들은 삼성전자가 보유한 특허를 침해하고 있기 때문에 판매가 허용돼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휴대폰 등 핵심사업이 보유한 특허자산에 대한 무임승차(free ride)를 더 이상 간과하지 않을 것"이라며 "이 같은 취지에서 프랑스ㆍ이탈리아에 이어 일본과 호주에서도 즉각적으로 제소한 것"이라고 배경을 설명했다. 삼성전자가 제기한 판매금지 가처분 소송에 대한 심리는 이르면 이달 말부터 순차적으로 열릴 예정이다. 삼성전자의 주장이 받아들여지면 애플은 신제품이 출시된 지 채 한 달도 안 돼 발이 묶이게 되는 셈이다.

관련기사



김정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