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국내 의료산업 경쟁력 '우물안 개구리'

美의 26%·獨의 33%·日의 38% 수준에 불과

국내 의료산업 경쟁력이 미국의 26%, 독일의 33%, 일본의 38%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삼성의료경영연구소 강성욱 박사팀은 미국과 영국 독일 프랑스 캐나다 일본 한국 등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선진 7개국의 의료산업 경쟁력을 비교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5일 밝혔다. 영국과 캐나다, 프랑스의 의료산업 경쟁력은 미국 대비 각각 79%, 77%, 74% 수준이었다. 분석대상 의료산업은 병원 의료기기 제약 등 3개 분야로 연구팀은 2005년도 OECD 헬스데이터 통계와 세계경제포럼(WEF) 국제경영개발대학원(IMD)이 국가별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와 모두 47개 평가지표별 의료산업 경쟁력을 분석했다. 조사 결과 미국은 모든 결정 요인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 영국은 미국과 비슷한 양상을 보였지만 독일은 `생산요소'와 `기업전략, 구조 및 경쟁양상' 부문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한국은 미국 등과 달리 `내수시장의 크기와 질', `기업전략, 구조 및 경쟁양상'분야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인구 1인당 보건의료 투자액은 한국이 94달러로 캐나다 278달러, 일본 252달러, 미국 218달러 등의 절반 수준에 불과했다. 보건의료 연구개발비 총지출액도 한국은 국민 1인당 2달러로 미국 103달러, 일본 42.8달러 등에 크게 못 미쳤다. 인구 1,000명당 의사 수도 한국은 1.5명으로 최고 국가인 독일, 프랑스의 3.3명에 비해 훨씬 적었으며 간호사도 1.7명으로 영국의 9.5명에 비해 크게 모자랐다. 연구팀은 국내 의료산업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자본 투자 유도 ▦연구개발지출 확대 ▦의료산업과 연관 산업의 연계를 위한 전략 등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