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 반해 직장이 문을 닫거나 명예퇴직, 정리해고 등 구조조정에 의해 실직한 경우는 전체의 12% 수준에 불과하며 그 비중은 2년전에 비해 3분의 1 정도감소했다.1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99년 12월 현재 1년 미만 실업자의 이직 이유 가운데 가장 큰 것은 「개인사유·건강·시간·보수 등에 대한 불만」으로 전체의 39.6%나 됐다.
우리나라가 국제통화기금(IMF)에 긴급지원자금을 요청한 직후인 98년 1월에는 이같은 자발적 실업이 전체의 27.1%였으며 실업문제가 점차 심각해진 98년 5월에는 18.6%까지 떨어졌었다.
반면에 직장의 휴·폐업으로 어쩔 수 없이 직장을 잃은 경우는 98년 1월 18.3%에서 99년 12월 4.5%로 떨어졌다. 명에퇴직이나 조기퇴직, 정리해고 등 구조조정에 따른 실직도 98년 1월 14.2%에서 99년 12월 7.7%로 떨어졌다. 휴폐업과 구조조정 비중을 합치면 99년 12월이 12.2%에 불과, 2년전(32.5%)의 3분의 1 수준으로 감소했다.
「일거리가 없어서」거나 「사업경영의 악화」로 직장을 잃은 경우는 98년 1월 30%에서 98년 7월 43.6%까지 늘었으나 99년 12월 30.8%로 낮아졌다.
정재홍기자JJH@SED.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