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中-印 자원 확보전 '엇갈린 희비'

中, 남아공과 밀월속 印은 자국 광산개발 조차 주민 반대로 제동

초고속 성장으로 자원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중국과 인도의 자원확보전의 명암이 엇갈리고 있다. 중국이 자원 부국인 남아공과의 밀월을 만끽하고 있지만 인도는 자국 내에 매장된 지하자원 조차 원주민 반대로 프로젝트 자체가 무산 위기에 봉착하고 있다.

25일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후진타오(胡錦濤) 중국 국가주석은 24일 취임 후 처음으로 중국을 방문한 제이콥 주마 남아공 대통령과 만나, 전략적 협력관계를 맺기로 합의했다.


중국 국영 기업들은 이날 주마 대통령과 함께 중국을 찾은 남아공 기업들과 자원개발, 금융, 원자력과 에너지 등 분야 10여 건의 투자 계획을 발표했다. 신화통신에 따르면 총 투자 규모는 2억4,000만 유로(약 3억 달러)에 이른다.

국영기업인 중국야금공사는 한해 120만 톤의 선철(銑鐵)과 68만 톤의 이산화 티탄을 생산하는 공장을 남아공에 건설키로 합의했다. 또 중국원자력공사는 원전 건설과 원자력 기술 이전 계획을 발표했다.

급속한 경제 성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중국은 최근 들어 자원사냥을 강화해왔다. 남아공은 전세계 백금의 90%, 망간의 80%, 크롬의 73%, 금의 41%를 보유하고 있는 자원부국이다. 중국은 이번 합의를 통해 남아공 지하자원에 대한 영향력을 더욱 확대할 것으로 예상된다.


남아공 역시 서구와의 경쟁을 촉발하는 계기로 보고, 중국의 진출을 환영하고 있다. 타보 음베키 전 남아공 대통령은 중국의 진출을 '신식민주의'라며 경계했지만 주마 대통령은 중국과의 협력 확대를 적극 추진하고 있다. 남아공 상무장관인 롭 데이비스는 파이낸셜타임스(FT)와의 인터뷰에서 "중국의 진출은 모든 면에서 남아공에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중국과 남아공의 협력 관계는 지속적으로 확대돼 왔다. 중국은 지난해 남아공의 최대 무역 상대국으로 떠올랐다. 남아공 전체 수출의 13%인 96억 달러어치가 중국으로 향했으며 수출 상품의 대부분이 지하자원이다.

중국이 이처럼 아프리카 자원시장에서 질주하고 있지만, 라이벌 인도는 자국 내 지하자원 개발조차 제동이 걸리고 있다.

인도 환경부는 24일 영국 광산업체인 베단타자원이 남동부 오리사주 니얌기리산에서 진행 중이던 보크사이트(알루미늄의 원광) 광산 개발을 불허했다. 자이람 라메드 환경장관은 "베탄다자원이 이 곳을 터전으로 살아가는 원주민들의 권리를 철저히 무시했다"고 지적했다.

환경부가 보크사이트 광산 개발을 불허한 것은 이 곳에 거주하는 소수 민족 동그리아 콘드족이 생활 터전을 잃는다며 강력하게 반발했기 때문이다. 동그리아족 수천명은 올해 초 대규모 시위를 벌였으며, 국제 엠네스티 등이 이들을 지원하고 나서면서 사태가 확산됐다.

광산개발 불허로 인해 54억 달러를 들여 제련시설을 건설한 베탄다자원은 대체 광산을 물색해야 할 처지에 몰렸다. 하지만 인도 내에서 높아지는 개발 반대 열풍으로 인해 이마저도 장담하기 힘든 상황이다. 뿐만 아니라, 베탄다자원의 광산개발 제동으로 인해 다른 지역에서 추진되고 있는 광산 개발과 대형 공장 건설도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것으로 우려된다.

인도 정부가 주도한 개발사업은 곳곳에서 주민들과 갈등을 빚고 있다. 이를 틈타 마오주의 반군이 급속히 세력을 확대하고 있다. WSJ은 인도 정부가 여론을 무마하기 광산개발지역에 거주하는 주민들에게 개발회사의 지분 26%를 주는 방안까지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 경우 수익성이 저하돼, 사업 추진이 제동이 힘들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