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부 北核 정보 분석력 떨어진다

스웨덴서 도입 측정장비 방사능 여부 확인 못해<br>핵실험 추정장소 두번 변경…아리랑 2호 활용도 미흡

북한의 핵실험으로 한반도의 지정학적 리스크의 현실화 못지않게 부상된 것이 하나 있다. 바로 정부의 대북 정보력과 정보를 취합, 분석할 기술력이다. 지난 9일 북한이 1차 핵실험을 단행한 뒤 핵실험 추정 장소는 두 번 바뀌는 우여곡절 끝에 결국 미국이 최초에 추정한 장소로 의견일치(?)를 봤다. 핵실험 뒤 방사능 채취 문제도 상황은 마찬가지. 올해 초 북한이 핵을 보유하겠다고 선언했음에도 불구, 관련장비 확보에는 늑장을 부렸다. 북한이 핵실험을 했다고 발표한 뒤 며칠이 지나 크세논 측정장비를 스웨덴에서 긴급 공수해왔다고 과기부는 당시 대단한 ‘쾌거’인양 밝혔다. 그 뒤 “방사능 물질이 잡히지 않았다”는 발표만 거듭했다. 문제는 긴급공수해왔다는 크세논 측정장비는 ‘공기를 채집’하는 기능만 있을 뿐 방사능 여부를 확인하는 장비가 아니었다는 점. 그럼에도 불구, 미국이 방사능 물질을 확인했다는 보도가 나오기 직전까지도 “방사능 물질을 확인하지 못했다”는 자료만을 반복하고 있었다. 정보의 한 발 늦은 상황은 17일 오전에도 나타났다. 미국ㆍ일본 언론들은 ‘북한의 2차 핵실험 징후’가 포착됐다는 보도를 먼저 내놓았다. 청와대는 즉각 “정부는 징후를 파악하고 있다”며 “한미간 정보공유 등 강화된 감시체계를 가동하고 있다”고 밝히는 데 그칠 뿐 그 이상의 발표는 없었다. 전문가들은 “이번 북핵 사태를 보면서 한국정부가 미국의 정보력에 철저하게 의존하고 있을 뿐더러 자체적인 정보 분석력을 키우기 위한 노력도 없었던 것 같다”고 꼬집고 있다. 또 다른 관계자는 “해상도 1m의 능력을 갖고 있다고 자랑했던 다목적인공위성 2호가 핵실험 추정지역을 촬영하지 않은 채 활용되고 있던 것도 정보의 유기적 활용을 꾀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을 보여줬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