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 벽두부터 시작된 후불교통카드 서비스 재계약 논란이 후불교통카드의 신규 및 재발급 중단에 이어 일부이지만 기존 카드사용자의 서비스도 중단되는 사태에 이르게 됐다.
혹자는 서울시 교통카드사업 독점운영권자인 한국스마트카드사와 후불교통카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신용카드회사들이 서로 손해를 보지 않기 위해 시작된 밥그릇 싸움에 불과하다며 시민의 편의를 위해 양측이 조금씩 양보를 하라고 한다. 하지만 일방적인 양보가 능사는 아니다. 더구나 매년 반복될 수밖에 없는 사안이라면 양보보다는 문제의 근본원인부터 철저히 분석해 해결책을 찾아야 두 번 다시 재발하지 않을 것이다.
이번 사태가 바로 그렇다. 한국스마트카드사의 누적적자는 320억원에 달한다. 영리가 목적인 기업이 적자가 발생하면 적자를 보전하고 수익을 증대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는 건 너무나 당연하다. 문제는 적자의 원인이 서울시가 교통사업 추진과정에서 교통시스템의 잦은 변경 및 시스템 에러로 발생한 추가비용, 그리고 전산 및 인력관리 명목으로 과다 지출되는 한국스마트카드사의 비대한 경영구조상에 있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서울시와 한국스마트카드사는 마치 카드회사로부터 받는 정산수수료가 너무 적어 적자가 발생한 것처럼 호도하고 책임을 전가하고 있다.
서울시는 서울의 교통체계 시스템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ㆍ감독하는 책임이 있다. 서울시가 진심으로 서울시민의 편의를 원한다면 지금이라도 신교통사업의 준비 소홀을 인정하고 책임지는 모습을 보여줘야 한다. 또한 구매부터 교환ㆍ환불에 이르기까지 불편함이 많은 선불카드인 티머니(T-Money)보다는 이용자 편의의 후불형 교통카드사업을 지원하는 것이 더 옳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