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미국도 대졸자 취업난 심각

과거 고졸 학력 요구하던 일자리에 학사 학위 구직자 몰려

미국의 대학 졸업자 중 절반이 대학교 학력이 필요 없는 직군에 종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6일(현지시간) 경기 침체로 대학 교육을 받은 수백만 명이 커피숍이나 상점 등에서 일하고 있다면서 일부 통계에 따르면 대졸 취업자의 절반 정도가 전통적으로 대졸 학력이 필요 없는 직종에서 일하고 있다고 전했다.


문제는 경제가 회복돼도 이런 상황이 개선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이다.

미국전국경제연구소(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는 최근 발표한 보고서에서 “지난 1990년대에는 경기가 회복되면 기업들이 고학력 소지자들의 채용을 늘렸지만 최근에는 이런 경향이 줄어들고 있다”고 밝혔다.


보고서 작성에 참여한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대학의 폴 보드리 교수는 “미국 노동부 자료에 분석한 결과 대졸 수준의 학력을 요구하는 일자리 비중이 ‘닷컴 거품’이 터진 2000년을 정점으로 하락하고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하지만 2000년대 들어 대졸자들은 계속 증가하고 있다.

고학력자들의 단순 노동직 취업이 늘어나면서 전통적으로 이런 분야에 종사했던 저학력자들의 일자리 구하기는 더 어려워졌다.

지난 2월 고졸자들의 실업률은 7.9%로 대졸 이상 학력 소지자들의 실업률 3.8%의 두 배를 넘었다.

지난해 실직한 이후 고학력 경쟁자들 때문에 일자리를 찾지 못한 타멜라 오거스타는 “과거에는 고졸 학력을 요구하는 일자리가 많았지만 요즘에는 구직자 대부분이 학사 학위를 갖고 있다”고 말했다.

/디지털미디어부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