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편한 게 좋다"… '오토' 장착차량 급증

"비용을 조금 더 부담하더라도 편하게 운전하는게 좋다" 소득수준 향상과 여가생활 증가 등에 따라 승용차에 수동 변속기 대신 자동 변속기를 장착하는 소비자들이 급증하고 있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기아차의 경우 전체 승용차 가운데 자동 변속기 장착비율이 2002년 81.1%에서 2003년 87.3%, 지난해 90.1%로 증가했다. 차종별 자동 변속기 장착비율은 리갈과 옵티마 등 중형의 경우 2002년 90.6%에서 지난해 93.5%로 늘었다. 또 쎄라토와 스펙트라 등 준중형은 2002년 77.2%에서 지난해 88.7%, 리오와 모닝 등 소형은 73.1%에서 83.6%로 10% 포인트 가량 각각 증가했다. 카니발이나 쏘렌토같은 RV 차량들의 자동 변속기 비율도 2002년 83.1%에서 지난해 94.7%로 증가세가 이어지고 있다. 특히 경차의 경우 지난해 단종된 비스토가 2002년 71.1%에서 지난해 85.2%, GM대우차의 마티즈는 98년 37.5%에서 2000년 53.8%, 2002년 74.3%, 지난해 83.1%, 올1∼3월 84.1% 등으로 자동 변속기 장착비율이 급증했다. 이처럼 자동 변속기 장착비율이 급증한 것은 소득수준 향상과 주5일제에 따른 여가생활 증가 등으로 승용차 이용시간이 늘면서 차량 구입비나 유지비를 조금 더부담하더라도 운전 편의성을 높이겠다는 소비자들의 심리가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자동 변속기 차량은 같은 조건의 수동 변속기 장착 차량에 비해 가격이 100만∼200만원 가량 비싼 데다 연비가 낮아 유지비가 더 든다. 업계 관계자는 "차량 구입비와 유지비 증가에도 불구, 장기적인 관점에서 운전편의성을 높이려는 소비자들이 늘고 있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김인철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