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와 경북도가 차세대 성장산업을 육성을 두고 엇박자를 거듭 내고 있다. 때문에 낙후된 대구ㆍ경북지역 산업을 대체할 수 있는 성장산업 육성 전략이 곳곳에서 암초를 맞고 있다.
14일 대구시와 경북도 등에 따르면 정부의 차세대 성장산업인 `임베디드`육성을 둘러싸고 대구와 경북이 갈등을 빚는 것을 비롯, `한방산업육성`과 대구ㆍ경북과학기술연구원(DKIST) 입지선정 등을 차세대 성장산업 유치를 두고 사사건건 두 목소리를 내고 있다.
대구디지털산업진흥원은 지난 달 경북대, 영남대, 계명대, 대구대, 대구한의대 교수 및 관련 기업과 단체들의 대표자들이 참석하는 `대구경북임베디드포럼`을 결성한 뒤, 향후 165억원을 투입해 `임베디드SW 지원센터`를 건립키로 하고, 한국SW진흥원으로부터 내년 예산으로 10억원을 확보했다.
그러나 경북도도 최근 임베디드 산업 육성을 위해 `경북ㆍ대구 임베디드산업진흥협의회`를 구성하기로 방침을 정하고 현재 실무작업을 추진하는 등 적극적인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특히 대구ㆍ경북의 임베디드산업 육성전략은 모바일, 텔레매틱스, 기계, 가전, 게임엔진 5개 분야에 특화시켜
▲전문 인력양성
▲기술개발
▲산업프로모션 등으로 공통점이 많아 역할분담과 협력 시스템이 제대로 마련되지 않을 경우 불필요한 갈등과 긴장을 초래해 오히려 지역산업 발전에 장애가 될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또 지난달 국회를 통과해 법제화된 대경과기원 설립 부지를 둘러싸고 대구시와 경북도는 서로 자기 지역 유치를 고집하고 있어 좀처럼 진척을 보이지 않고 있다. 대구시는 대경과기원 부지를 달성군 현풍면이나 동구 율하동을 고집하고 있는 반면 경북도는 구미시 등을 주장하며 한치도 양보하지 않고 있다.
대경과기원은 2008년까지 5,800억원을 투자해 10만평 규모의 부지에 정보통신(IT), 생명공학(BT), 나노기술(NT) 등의 연구소를 집적시켜 지역 성장산업의 허브기능을 담당케 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대구ㆍ경북은 한방산업을 집중 육성하는 `한방바이오밸리`추진과 `한방식품의약청` 설립 등도 각각 독자적으로 방안을 모색하며 삐걱거리는 등 차세대 성장산업 유치에 유난히 반목하고 있다.
지역 경제계 관계자는 "자기 지역으로 차세대 성장산업을 이끌 동력을 끌어 오려는 노력은 당연하지만 대구ㆍ경북 전체를 아우를 수 있는 거시적인 시각과 함께 양 지자체가 협력을 통해 효과적인 사업 추진방향 모색 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대구=김태일 기자 tikim@sed.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