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中企 신용위험 3년만에 최고"

은행들 4분기 전망…원자재값 상승·부동산 PF부실등 영향<br>中企대출 쉽고 가계 주택대출은 여전히 힘들듯


원자재 가격 상승,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부실 등의 영향으로 중소기업 신용위험이 3년 만에 최고 수준에 달할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국내 16개 은행의 여신업무 총괄 담당자들을 면담조사해 8일 발표한 ‘금융기관 대출행태 서베이 결과’에 따르면 4ㆍ4분기 중 중소기업의 신용위험지수 전망치는 28로 전분기 16보다 12포인트 급등했다. 이는 2004년 4ㆍ4분기(32) 이후 3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신용위험 전망지수가 플러스면 신용위험도가 ‘높아질 것’이라는 응답이 ‘그렇지 않다’는 응답보다 많다는 것을 뜻하며 지수가 마이너스면 신용위험이 ‘낮아졌다’는 응답이 더 많다는 의미다. 조강래 한은 금융안정분석국 안정분석팀 차장은 “일부 중소 건설업체의 부도와 PF 대출의 부실화 우려가 제기되는 가운데 국제 원자재 가격도 상승해 기업의 수익성이 악화할 것으로 은행들이 예상하고 있다”고 말했다. 가계의 신용위험지수도 금리 상승에 따른 원리금상환 부담 증대, 부동산 담보가치 하락 등으로 전분기(16)보다 높은 19를 기록했다. 이에 따라 중소기업과 가계 등을 모두 합친 종합 신용위험지수는 22로 2004년 4ㆍ4분기(25) 이후 최고 수준을 보였다. 하지만 은행들은 중소기업의 대출태도를 크게 강화했던 3ㆍ4분기에 비해 4ㆍ4분기엔 대출자세를 누그러뜨릴 태세다. 중소기업 대출태도지수는 3ㆍ4분기 -13에서 4ㆍ4분기에는 16포인트 상승한 3을 기록했다. 한은은 “중소기업 대출 연체율이 낮은 수준을 이어가고 있는데다 은행들이 적정 자기자본이익률 유지를 위해 리스크에 좀더 유연하게 대응할 것으로 보임에 따라 대출 태도가 중립수준으로 돌아선 것 같다”고 분석했다. 반면 가계 주택대출 태도지수는 3ㆍ4분기 -3에서 4ㆍ4분기 -6으로 더욱 강화돼 여전히 주택을 담보로 돈 빌리기가 여의치 않을 전망이다. 조 차장은 “주택담보대출 강화가 최고조였던 1ㆍ4분기(-41)와 2ㆍ4분기(-25)에 비해서는 정도가 다소 낮아질 것으로 예상됐지만 4ㆍ4분기 전망지수가 마이너스라는 것은 여전히 가계 주택담보 대출을 엄격하게 관리하겠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부동산가격 하향 안정 추세와 주택담보대출 규제에 대한 감독당국의 강력한 의지 등으로 은행 문턱이 갑작스럽게 낮아지기는 어렵다는 설명이다. 하지만 신용대출 등 가계일반자금에 대한 대출태도 지수는 3ㆍ4분기 3에서 4ㆍ4분기 9로 완화됐다. 이는 시장점유율 및 수익성 제고를 위한 우량고객 중심의 대출 전략이 확대된 탓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