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기회복세 둔화… 생산 2월이후 최저

경기종합지수 4개월만에 증가세… 향후 경기전망 불투명 대외변수로 인해 4.4분기 이후 경기회복세 둔화가 우려되고 있는 가운데 9월 산업활동이 크게 부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생산과 출하 증가율이 연중 최저수준에 근접하고 도소매판매 등 소비지수도 증가율이 크게 둔화됐다. 통계청이 29일 발표한 `9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생산과 출하는 작년 같은달에 비해 각각 3.4%와 2.0% 증가하는데 그쳤다. 생산 증가율은 지난 2월 -2.7% 이후 최저수준이며 출하는 작년 10월의 -0.9%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생산은 반도체가 18.1%, 사무회계용기계가 15.8% 늘었으나 기타운송장비가 25.5% 줄고 자동차도 5.4% 감소하면서 증가율이 둔화됐다. 반도체를 제외한 생산지수는-2.4%를 기록했다. 출하는 내수가 2.9% 감소했으나 수출출하가 8.2% 늘면서 전체적으로 2.0% 증가했다. 소비지표인 도소매판매는 자동차판매가 둔화되면서 2.9% 증가, 작년 2월 1.6%이후 가장 낮은 증가율을 보였고 내수용소비재 출하도 0.3% 증가에 그쳤다. 반면, 설비투자는 통신기기와 특수산업용기계 등에 대한 투자가 늘면서 2.8% 증가했다. 건설기성은 공공발주 공사실적이 부진을 보이고 민간발주 공사실적도 감소해 10.2% 줄었다. 재고율은 69.7%로 전달보다 0.6%포인트 증가했고 제조업 평균가동률은 74.6%로 전월보다 2.4%포인트 감소했다. 현재의 경기를 나타내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전달보다 0.7포인트 늘고 6개월이후의 경기를 나타내는 선행지수 전년동월비는 전달에 비해 0.3%포인트 증가해 4개월만에 플러스로 돌아섰다. 통계청 관계자는 "추석연휴에 따른 조업일수 감소 등의 영향으로 생산과 소비증가율이 큰 폭으로 둔화됐지만 설비투자가 회복세를 보이고 경기종합지수가 플러스로 돌아섰다"면서 "향후 경기전망은 좀더 두고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유의주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