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대구광역권, 전기차 거점도시로 육성

대구가 영남권 전기자동차(EV) 거점도시 조성에 나섰다. 대구시와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청은 ‘대구광역권 지능형 EV 상용화 거점도시 마스터플랜’이 마련됨에 따라 앞으로 EV 보급 및 확산을 가속화하고 친환경자동차 관련 산업을 본격 육성할 방침이라고 7일 밝혔다. 한국교통연구원이 마련한 마스터플랜에 따르면 대구광역권은 자동차부품 산업이 전체 산업의 40%를 차지하고, 신소재ㆍ기계부품ㆍ 전자부품 등 연관 기업들이 밸류체인을 형성, 전기차 관련 산업 집적화에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정학 및 교통적으로도 대구는 4개 고속도로가 교차하는 등 교통의 요충지이고, 도로망이 4개 순환선 및 8개 방사선 도로를 축으로 격자형으로 형성돼 있어 전기차 운행과 충전인프라를 구축하는데 좋은 조건을 갖춘 것으로 파악됐다. 마스터플랜에서는 정부의 2012년 전기자동차 거점도시 선정 계획을 반영해 민간기업의 참여를 유도하고(1단계ㆍ2012∼2013년), EV 기반 조성(2단계ㆍ2014∼2016년) EV 확산(3단계ㆍ2017∼2020년) 등에 나설 것을 제시했다. EV 충전기는 2012년부터 2020년까지 모두 1만8,000대를 구축하고 이 가운데 급속충전기는 주유소ㆍ 관공서ㆍ백화점 등에, 완속충전기는 공영주차장ㆍ공항ㆍ아파트단지 등에 설치할 것을 주문했다. EV 이용자에게는 충전소 위치와 이용 조건 등의 정보를 내비게이션을 통해 실시간으로 제공하고, 인터넷ㆍ휴대전화로도 쉽게 검색할 수 있도록 서비스해야 한다고 밝혔다. 전기자동차 보급은 2012년부터 2020년까지 1만여대를 목표로 초기에는 관용차ㆍ택시ㆍ렌터카 등부터 시작하는 한편 상용화 촉진을 위해 세금 감면, 공영주차장 요금 할인, 유료도로 통행료 감면, EV관련 저리 융자 등을 제안했다. 한국교통연구원은 지난 6일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청에서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EV 상용화 거점도시 조성에 대한 연구용역 최종보고회를 개최했다. 신경섭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청 행정개발본부장은 “정부의 EV 보급정책에 맞춰 선도적으로 대응할 것”이라며 “용역결과를 바탕으로 대구시와 함께 세부적인 전기자동차 상용화 계획을 수립, 추진해 친환경자동차 관련 산업을 적극 육성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