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노련 임금동결의 효과(사설)

전국금융노조연맹이 내년임금의 동결을 자발적으로 결의했다. 자발적 임금동결은 지난 61년 금융노련창립이래 사상 최초라는 점에서 노동계뿐만 아니라 재계에 주는 파장도 엄청날 것으로 전망된다.내년은 국제통화기금(IMF)체제 아래서 금융산업의 대격변이 예고돼 있다. 이에따라 금융기관마다 생존전략의 차원에서 점포감축, 감원, 임금삭감 내지는 동결 등 뼈를 깎는 자구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이미 실시에 들어간 곳도 있지만 대부분의 금융기관들은 노조와 협의단계도 전이다. 이같은 시점에서 금융노련이 자발적으로 임금동결을 선언한 것은 의미가 깊다. 노조가 스스로 양보하고 인내, 함께 살아 가겠다는 결속의지의 표현이다. 무척이나 어려운 결단이다. 노조의 성숙된 자세를 보는 느낌이다. 금융노련에는 국내 6대시중은행을 비롯, 전국은행·지방은행·농수축협 등의 노조가 가입해 있다. 조합원만도 14만명으로 국내 최대의 사무직 노조다. 당연히 그 영향이 제2금융권을 비롯한 전국 사무노련에도 확산될 기미다. 금융개혁은 피할 수 없는 우리나라 최대의 경제과제다. 금융기관끼리의 인수합병(M&A)이나 외국에 의한 국내 금융기관의 M&A도 현실로 다가섰다. 정리해고의 바람도 거세질 것이 틀림없다. 금융노련의 이같은 자율적 결의가 얼마나 힘을 발휘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 그러나 경제위기를 헤쳐나가겠다는 노조의 단결된 의사를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IMF를 비롯한 국제사회에도 긍정적으로 비춰질 것이 틀림없다. 마침 국내 대기업들도 실업대란, 고용불안 해소를 위해 구조조정계획을 수정해나가는 추세다. 가급적 감원을 줄이면서 임금을 삭감내지 동결하는 쪽이다. 현 상황에서는 가장 바람직한 방법이다. 본란은 구조조정계획과 관련, 여러차례에 걸쳐 감원만이 능사가 아님을 지적한바 있다. 감원은 최후의 수단이어야 한다. 금융노련의 어려운 결단은 금융시스템 안정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IMF도 한국사회의 안정은 고용안정에서 비롯된다는 현실을 외면해서는 안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