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금융권 건설사 지원협약' 파행

당국 독려불구 209社중 148곳만 참여<br>증권사 "실익 없고 자금부담 가중" 냉담


지난 4월부터 시행된 금융권의 건설회사 유동성 지원협약이 증권사 등의 소극적인 참여로 ‘파행’을 거듭하고 있다. 9일 금융계에 따르면 은행연합회와 채권금융기관조정위원회 사무국은 지난 5월부터 건설회사 유동성 공급을 위한 ‘대주단협의회 운영협약’에 최대한 많은 금융회사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권유하고 있지만 아직도 상당수 금융회사들이 불참하고 있다. 현재까지 협약 가입 대상 금융회사 209개사 가운데 70.8%인 148개사만 참여했다. 지난 7월 일부 보험사와 17개 저축은행들이 협약에 가입한 반면 증권사와 자산운용사의 참여가 저조해 ‘답보’상태다. 22개 증권사중 유화증권만이 가입했고, 자산운용사는 31개사 중 2개사만 가입했다. 금융감독원은 건설업계 부실 우려가 커지자 증권업협회를 통해 건설업계 지원방안을 검토하도록 권고했고, 증권사 사장단도 지난 8월초 회의를 갖고 대주단 협약에 가입하는 방향으로 의견을 모았다. 그러나 그 후 협약에 참여한 증권사는 단 한 곳도 없다. 유진투자증권이 가입의사를 전달했으나 다른 증권사의 참여 여부를 지켜보고 있는 상황이다. 은행연합회 관계자는 “대형증권사의 경우 이번주까지 이사회가 예정돼있어 여기에서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며 “추석 이후에나 최종 가입 여부가 윤곽을 드러낼 전망”이라고 말했다. 증권사들은 은행권이 결정을 주도하는 데 대한 반발과 함께 ‘실익’도 기대할 수 없어 협약 참여에 냉담한 반응이다. 증권사의 한 관계자는 “기존 대주단 협의회는 건설회사에 대한 대출 규모에 따라 발언권을 행사하고 있기 때문에 증권사들은 은행에 끌려갈 수 밖에 없다”며 “은행이 연장협약을 요청하면 이를 무조건 받아들여야 하기 때문에 증권사들이 참여를 꺼리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증권사는 여신 위주의 은행과는 달리 자산 형태가 매입약정, 유동화채권, 자기자본(PI) 등으로 나눠져 있고, 각 상품마다 성격이 달라 상환 기준에서 차이를 둘 수 밖에 없다”며 “대주단 협약은 수신 기능이 없는 증권사의 자금부담을 가중시키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