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단체수의계약 내년부터 폐지 中企조합 "떨고있니"

수입줄어 조직운영 큰타격 직원 20~50% 감원 불가피<br>공동구매사업 활성화 추진 중기청·기협 대책마련 나서


단체수의계약 내년부터 폐지 中企조합 "떨고있니" 수입줄어 조직운영 큰타격 직원 20~50% 감원 불가피공동구매사업 활성화 추진 중기청·기협 대책마련 나서 단체수의계약에 안주해온 중소기업협동조합들이 혹독한 구조조정기를 맞고 있다. 2일 중소기업계에 따르면 중소기업들이 관련 조합을 통해 공공기관 등에 제품을 납품하는 단체수의계약제도가 내년 1월부터 전면 폐지되면서 조합들은 주요 수입원을 잃게돼 조직 운영에 상당한 타격을 입을 전망이다. 즉 단체수의계약제도를 연결고리로 한 조합들의 공동 구매ㆍ판매 사업이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단체수의계약 대상 품목(전국조합 및 연합회)수는 지난 2004년 138개(81개), 2005년 125개(71개)에서 올해 95개(53개)로 줄어온 상태다. 금형조합처럼 전시 및 원자재(금형 몰드베이스용 고탄소강) 공동구매 사업으로 재정자립 기반을 다진 곳도 있긴 하지만 이는 예외적인 경우다. 대다수 조합들은 뾰족한 대체사업을 찾지 못한 채 회원사들의 관심권 밖으로 밀려나는 것은 물론 직원들을 구조조정해야 하는 상황으로 내몰리고 있다. 적잖은 조합들이 평균 10명 안팎인 직원의 20~50%를 감원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실제 장류조합은 군납용 고추장에 대한 단체수의계약이 내년 1월부터 폐지되면 수입의 20% 정도가 사라지고, 고추ㆍ밀가루등 원자재 공동구매사업도 유명무실화돼 직원 2~3명을 구조조정해야 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다만 조합의 전체 사업액(2005년기준 610억원) 중 단체수의계약 비중이 낮아 충격은 덜한 편이다. 된장ㆍ쌈장ㆍ간장류 생산에 쓰이는 대두에 대한 공동구매사업과 다른 용도로의 전용을 막는 사후관리 업무는 계속 수행하기 때문이다. ◇공동 판매ㆍ구매 ‘찬바람’= 하지만 국영무역 품목인 대두와 달리 김치ㆍ싱크대 등을 납품하는 조합들은 내년부터 단체수의계약제도가 폐지되면 공동구매사업도 큰 타격을 입을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씽크조합은 연간 150억원 규모의 납품용 원자재를 공동구매하고 있다. 하지만 당장 내년부터 수입원의 80% 이상이 사라지고, 원ㆍ부자재 공동구매사업도 유명무실해질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조합 직원들도 구조조정이 불가피해질 것이라며 걱정이 태산이다. 지난 2003년 4월 10개 조합사가 참여해 ‘천년미가’라는 공동브랜드를 선보인 김치절임식품조합도 단체수의계약이 폐지되면 조합 수입의 50%를 잃게 돼 직원 월급 주기도 힘들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판로가 불확실해져 고춧가루 등 연간 50억원 규모의 원ㆍ부자재 공동구매사업이 구심점을 잃게 된다는 점도 걱정거리다. 서울가구조합은 68개 회원사와 공동으로 10억원을 출자해 ‘가보로’라는 가구 브랜드를 개발, 지난 2004년 TV 홈쇼핑 등을 통해 106억여원의 매출을 올렸다. 하지만 전국에 대리점망을 확충하려던 계획이 경기침체와 낮은 브랜드 인지도 등의 문제로 차질을 빚으면서 지난해에는 60억여원 수준으로 매출이 뚝 떨어졌다. 박재준 사장은 “홈쇼핑을 강화하는 등 수습방안을 모색 중이지만 가시적인 성과가 나오려면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말했다. ◇직원들도 앞날 캄캄= 전기조합도 3개 단체수익계약 품목(변압기ㆍ무정전전원장치ㆍ발전기)이 내년부터 중소기업간 경쟁품목으로 전환되면 ‘돈줄’이 말라붙을 처지다. 정부가 단체표준 인증제품을 공공기관의 우선구매(수의계약) 대상에서 제외하기로 해 배전반ㆍ변압기 등에 대한 품질인증 사업도 표류할 전망이다. 조합의 한 관계자는 “단체수의계약 폐지를 앞두고 상당수 회원사들이 조합에 무관심해져 규소강판 등 공동구매 물량ㆍ품목을 늘리기 어려운 실정”이라며 “수입의 60% 이상을 차지하는 단체수의계약 수수료 수입이 사라지면 조합 직원 20명 중 상당수가 직장을 잃을 것”이라고 하소연했다. 이처럼 조합들의 존립기반이 뿌리째 흔들리자 중소기업협동조합중앙회와 중소기업청은 간담회 등을 통해 조합의 순기능을 살리기 위한 대책 마련에 들어갔다. 심충택 기협중앙회 조합판로지원팀장은 “정책자금 지원 등을 통해 공동구매에 참여하는 업체들의 부담수준(금리+수수료율)을 6%대로 지금보다 2% 포인트 가량 낮춰주면 공동구매사업 활성화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제안했다. 그는 또 “업계 사정에 밝은 조합이 공동사업과 관련된 보험ㆍ공제관련 업무를 취급할 수 있도록 법령ㆍ제도를 정비해주면 보험사 등은 리스크를 낮출 수 있고, 조합은 수수료 수입을 올려 서로 윈-윈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중기청의 한 관계자는 “신설된 조합기능활성화팀을 중심으로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공동사업 활성화 방안을 마련 중”이라고 말했다. 입력시간 : 2006/05/02 16:46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