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특수통 검사 30년… 낮술 금지 내부개혁 주도

■ 정홍원 후보자는

정홍원 국무총리 후보자는 30년간 검사를 지낸 법조인으로 지난해 4월 총선에서 새누리당 공직자후보추천위원장을 맡았다.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의 예상 밖 승리를 가져온 총선에서 공천개혁을 주도하며 발을 맞춘 인사다. 겉으로 보기에는 온화한 인상이지만 소신이 정해지면 묵묵히 밀고 나가는 강직함을 보여줬다.


정 후보자는 공천 당시 여론조사 하위 25%는 공천에서 제외하는'25% 룰'을 만들었고 당내 극심한 반발에도 법치를 들어 지켰다. 이로 인해 김무성 전 선대위 총괄본부장 등이 공천을 받지 못하면서 백의종군을 선언했다.

그의 꼿꼿함을 보여주는 일화 중 하나가 이재오 의원의 공천이다. 지난해 2월 공천위는 서울 은평을에 이 의원을 공천하자고 한 반면 비상대책위원회는 MB 색채가 지나치게 강하다며 반대했다. 이에 정 후보자는 비대위 의결을 기다리지 않고 회의장을 나가 이 의원이 포함된 공천명단을 발표해버렸다. 비대위가 공천위에 재의를 요구했지만 공천위는 4시간 만에 재의결했다. 그는 당시 "(그때부터) 저를 함부로 다룰 수 없다고 생각했는지 당내에서 별다른 (공천) 압력을 가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법조인 경력은 검사가 대부분이지만 법률구조공단과 중앙선거관리위원회 경험이 있다.

관련기사



그는 지난 1972년 사범시험(14회)에 합격하면서 검사로서 사회에 첫발을 내디뎠다. 1982년 이철희ㆍ장영자 부부 사기사건을 비롯해 '대도' 조세형 탈주사건, 수서지구 택지공급 비리사건, 워커힐 카지노 외화 밀반출 사건 등을 처리해 특별수사통 검사로서의 경력을 쌓아갔다.

1991년 대검 중앙수사부 3과장 시절에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컴퓨터 해커를 적발했으며 서울지검 남부지청장으로 재직하면서 '민원인 후견인 제도'를 도입해 호평을 받았다.

또 대검 감찰부장으로 재직할 때는 '검찰 낮술 금지'를 실시해 내부개혁에도 앞장섰다.

그러나 법조계 경험이 대부분인 그가 국정 전반을 다뤄야 하는 국무총리 후보자로 적절한지는 논란이 일 것으로 보인다. 고위 권력에 해당하는 검사는 물론 고액의 연봉을 받는 법무법인 대표 변호사와 SK 사외이사를 지낸 그가 스스로를 '보통사람'이라고 칭한 점도 일반인의 시각과는 거리가 멀다는 비판을 받을 수 있다.

그의 재산규모는 20억원 정도다. 정 후보자가 마지막 공직인 대한법률구조공단 이사장으로 있던 2011년 3월 당시 공직자 재산공개를 보면 정 후보자와 배우자 등 가족의 총 재산은 19억1,180만원이다.

프로필
▲경남 하동(67) ▲진주사범 ▲성균관대 법학과 ▲14회 사법시험 ▲대전지검·광주고검 차장검사 ▲부산지검 울산지청장 ▲대검찰청 감찰부장 ▲광주지검·부산지검 검사장 ▲법무연수원장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상임위원 ▲대한법률구조공단 이사장 ▲새누리당 공직자후보추천위원장

임세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