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종편·보도PP 선정때 계량평가 비중 강화

종합편성채널과 보도전문PP(방송채널사업자)승인과 관련해 세부 심사기준안이 나왔다. 방송통신위원회는 2일 전체회의를 열고 신규 종편ㆍ보도PP사업자 선정을 위한 세부심사 기준과 승인 신청 요청 등을 포함한 세부심사기준안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기본방향은 ▦합법, 합리적 공정, 공명한 심사진행 ▦심사기준의 객관성 제고를 위해 계량평가 비중 강화(종편 24.5%, 보도 20%로 상향) ▦역량있는 사업자 선정을 위해 기본계획에서 정한 정책목표 등을 고려 세부심사기준 마련 등 크게 세가지다. 또 방통위는 기본계획 의결시 ▦종편·보도PP 도입의 정책목표를 융합하는 미디어 환경변화에 적극 대응 ▦방송의 다양성 제고를 통한 시청자 선택권 확대 ▦콘텐츠 시장 활설화 및 유료방송시장의 선순환 구조 확립 ▦경쟁 활성화를 통한 방송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 등 네가지로 결정했다. 방통위는 이를 토대로 정책 목표 등 중요도와 함께 각 항목 간 배점의 균형, 공익성·재무·방송경영·프로그램·방송(콘텐츠) 발전 측면 등 주제별 배점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배점을 제시했다. 방통위는 정책 목표를 고려해 특정 심사항목을 4개 범주로 구별하고, 심사항목을 총 5가지로 제시했다. 한편 방통위는 전문가 토론회 등 의견수렴과 상임위원간 논의를 거쳐 11월 중 세부심사기준안을 의결한다는 방침이다. 이후 승인신청 공고 및 접수, 승인심사위원회 구성·운영 등 선정절차를 진행해 연내 사업자 선정 절차를 마무리 한다는 게 목표라고 방통위는 설명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