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삼성 특검 수사 지지부진 여론에 '초강수'

■ 삼성 특검, 이학수 부회장 소환조사<br>경영권 편법승계·비자금 조성 개입 여부등 조사<br>삼성 임직원들 "어떻게 결말 날지 두렵다" 당혹

삼성 비자금 의혹을 수사 중인 조준웅 특별검사팀이 14일 이학수 전략기획실장(부회장)을 전격 소환함에 따라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 부회장은 삼성 측 ‘비자금 관리’의 핵심 라인이자 이건희 회장이 그룹 지배권을 이재용 삼성전자 전무에게 넘겨준 ‘경영권 불법 승계’ 의혹에 직간접으로 연관됐다는 지목을 받고 있다. 이 때문에 특검팀도 이 부회장을 상대로 여러 의혹에 직간접으로 개입했는지 여부와 차명계좌 개설과 비자금 조성, 불법 정ㆍ관계 로비 등을 계열사에 지시했는지 등을 집중 조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검 수사 돌파구 마련=이 부회장은 그룹 내 2인자라는 상징성 때문에 특검 수사가 무르익은 시점에야 소환될 것으로 점쳐졌다. 그러나 이날 이 부회장을 전격 소환한 것은 삼성 본관과 계열사, 최고위급 임원들의 자택에 대한 압수수색과 차명계좌 추적 등에서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지 못한 특검팀이 돌파구를 마련하기 위한 차원이 아니냐는 분석이다. 특검팀은 지난달부터 이 회장의 집무실인 한남동 승지원과 삼성 본관, 핵심 임직원 자택, 삼성증권, 삼성화재 등 다각도로 압수수색을 펼쳤음에도 만족할 만한 물증 확보에는 실패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검 관계자들은 “삼성본관 압수수색 때에는 기대조차 안 했다”며 삼성의 완벽한 사전 대비로 허탕만 치고 있다는 자조까지 흘러나왔다. 특히 주요 참고인들이 갖은 이유로 소환에 불응하는 등 비협조로 일관하면서 특검수사가 제자리걸음하고 있다는 분석도 제기됐다. 특검팀은 이 같은 부정적 여론을 바꾸기 위해 이 부회장 소환이라는 깜짝 카드를 꺼내든 게 아니냐는 분석이다. 이 부회장은 삼성 내 핵심 조직인 전략기획실을 이끄는 전략기획실장을 맡고 있으며 ‘이학수-김인주-최광해-전용배’로 이어지는 전략기획실을 총지휘하고 있다. ◇수사 장기화 부담 해소차원=일부에서는 이 회장을 대신해 그룹 경영을 실제적으로 총괄하고 있는 이 부회장이 소환된 데 대해 특검 수사가 장기화된다는 비난을 막기 위한 포석이 아니냐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삼성 임직원들은 그룹 최고의사결정자 중의 한명인 이 부회장이 소환됨으로써 초래될 그룹 경영 차질, 대외신인도 하락 등을 우려하며 지난해 말 특검 사태 이후 계속되고 있는 경영공백의 장기화 가능성을 우려했다. 삼성의 한 임원은 “지난해 말부터 사실상 경영 마비 상태가 지속되고 있는데도 특검 사태의 끝이 보이지 않아 안타깝다”며 “사실로 확인되는 위법ㆍ불법 혐의에 대해 응당한 처벌을 받더라도 하루빨리 특검 수사가 마무리되길 바란다”고 걱정했다. 이 때문에 특검팀도 60일로 허용된 특검의 1차 수사기간인 오는 3월 중순 안에 수사를 종결해 국내 경제에 미치는 악영향을 최소화하겠다는 복안을 갖고 있는 게 아니냐는 분석이다. 특검팀이 예상보다 일찍 이 부회장을 소환, 핵심 임원들의 줄소환도 예상된다. 핵심 임원들의 조사 이후에는 오너 일가 조사만 남은 만큼 이 회장과 이 전무 등에 대한 소환조사도 예상보다 앞당겨질 전망이어서 특검팀의 향후 대응이 주목된다. ◇삼성 임직원 ‘당혹’=이 부회장의 특검 참고인 소환 조사에 대해 삼성 임직원들은 당혹스러움을 감추지 못했다. 삼성 전략기획실의 한 직원은 “이 부회장이 소환될 것이라는 예상이 여러 군데서 나왔지만 막상 닥치고 보니 황당하고 당혹스럽다”며 “그룹 위기가 실감나고 특검 사태의 결말이 어떻게 날지 두렵다”고 걱정했다. 이 부회장 소환조사는 특히 이날 특검이 삼성전자 수원본사를 전격 압수수색한데다 이 회장 일가의 과세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국세청에 대한 압수수색 영장을 법원에 청구하는 등 고강도 수사를 벌인 데 뒤이은 것이어서 삼성 임직원들의 위기감을 더했다.

관련기사



김광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