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글로벌 '복합불황' 가능성에 주목해야

유럽 재정위기가 동구권으로 확산되는 조짐을 보이면서 글로벌 금융불안도 장기화되는 양상이다. 특히 우리의 경우 국내에 들어와 있던 유럽계 자금 유출이 지속됨에 따라 다른 나라들에 비해 금융시장이 더 큰 변동성을 보이고 있다. 이달 들어 국내금융시장에서 빠져나간 유럽계 자금은 2조3,000억달러에 이른다. 이에 따라 원ㆍ달러 환율은 1,160원으로 올랐고 주가지수도 1,800선이 무너졌다. 국가부도 위험을 나타내는 신용부도스와프(CDS) 프리미엄은 지난 25일 177bp까지 높아져 한달 만에 50bp나 급등했다. 주요국의 경제전망이 어두워지고 있는 것도 금융불안을 증폭시키는 요인이다. 미국의 경기회복이 지연되고 있는 가운데 중국도 내년에 무역적자로 돌아서고 경착륙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유럽 재정위기가 프랑스ㆍ독일 등 중심국은 물론 동구권으로 확산되면서 유럽 의존도가 높은 중국도 영향권에 들어서고 있기 때문이다. 걱정스러운 것은 중국에 대한 수출의존가 높다는 점에서 중국경제의 불안이 우리 경제에 치명적인 악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유럽 재정위기가 최고조에 달했던 지난 8~9월의 고비를 넘기고 한동안 개선 추세를 보이던 금융 및 경제지표들이 최근 다시 급속도로 악화되고 있는 데는 중국의 영향이 크게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만약 세계경제의 기관차나 다름없는 중국경제마저 어려워질 경우 세계경제는 실물과 금융이 함께 침체하는 '복합불황' 또는 '제2차 글로벌 금융위기'라는 최악의 상황에 직면할 가능성이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실물경제는 물론 금융의 해외의존도가 높은 우리 경제로서는 최악의 상황까지 상정하고 대응전략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유럽 재정위기가 해결된다면 다행이겠지만 4~5년에 걸쳐 장기화할 가능성이 크다는 게 전문가들의 진단이기 때문이다. 여기에 중국경제까지 어려워질 경우 마지막 보루가 무너지는 것이나 다름없는 상황이 되는 셈이다. 내년 총선과 대선 등을 앞두고 정치불안이 고조되고 있는 것도 경제운용에 큰 부담요인이다. 가능성이 커지고 있는 세계경제의 복합불황을 헤쳐나갈 수 있도록 정책역량을 키워야 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