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쌍용건설 상장폐지 위기…해외 건설 수주 날릴 판

우리은행 출자전환 거부<br>"국내사업만 하란 소리…고사시키자는 것"

쌍용건설의 법정관리(기업회생절차)행이 문턱까지 왔다.

주채권은행인 우리은행이 3,000억원에 이르는 추가 자금지원 여부를 안건으로 올려 채권단의 의사를 공식적으로 묻기로 했는데 상당수 채권단이 자금지원에 난색을 표명하고 있기 때문이다. 만약 안건 부결로 기업개선작업(워크아웃)이 중단되고 법정관리가 사실상 확정되면 1,400여개 협력업체의 연쇄 도산과 국내 건설업체의 해외 신인도에 타격이 예상된다. 이 때문에 금융 당국이 채권단에 추가 지원을 강력하게 압박할 수 있어 채권단의 판단이 주목된다.

11일 금융계에 따르면 우리은행은 서울 명동 본점에서 쌍용건설 채권단 운영협의회를 열어 이같이 결정했다.


이날 협의회에서는 교착상태에 빠진 군인공제회와의 협상 결과를 설명하고 쌍용건설의 워크아웃 지속 여부 등에 대해 논의했다.

관련기사



특히 우리은행은 출자전환(5,000억원)과 신규 자금(3,000억원)지원을 각각 안건으로 부의해 채권단 의견을 모으기로 했다. 안건이 의결되려면 채권단 75% 이상이 찬성해야 한다. 현재 출자전환이 가능하려면 1,800억원이 더 필요한데 이를 위해서는 3,000억원의 추가 자금지원 안건이 가결돼야 한다.

출자전환 안건은 부결되더라도 상장폐지만 되지만 추가 자금지원 안건이 통과되지 못하면 쌍용건설은 법정관리로 갈 수밖에 없다.

현재 분위기만 보면 채권단의 75% 이상이 추가 자금지원에 찬성할 것으로 기대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채권단의 한 관계자는 "군인공제회 가압류건에다 지난 6월 워크아웃 개시 이후 쌍용건설의 경영이 호전되지 않고 있다"며 "이런 상황에서 은행들이 신규 자금지원 결정을 내리긴 쉽지 않다"고 말했다.

마지막 변수는 금융 당국이다. 금융 당국이 쌍용건설 법정관리행에 따른 파장을 우려해 채권단에 신규 자금지원을 밀어붙일 경우 결과가 달라질 여지도 있다는 것이다.


이상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