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창조과학부는 KMI가 LTE-TDD 방식으로 기간통신사업 허가 신청서를 접수했다고 14일 밝혔다. 미래부는 60일 이내에 허가신청 적격심사를 진행한 후 사업계획서를 심사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KMI는 2009년 결성 이후 와이브로 방식으로 제4이통에 도전했고, 이번에는 LTE-TDD 방식으로 바꿨다. 지금까지는"재무구조가 불안정하다"는 이유로 번번히 실패했다.
KMI는 이번에 8,530억원의 자본금을 확보하고 사업허가를 신청했다. 법인과 개인사업자 234곳, 개인 380명이 주주로 참여했다. 대주주와 주요주주 지분율은 32.24%고, 중국의 통신사업자 차이나콤이 300억원을 투자하기로 했다.
KMI는 허가 이후 470억원의 현물출자를 받아 자본금을 9,000억원으로 증자하고, 해외투자유치와 공모를 통해 자기자본을 2조1,000억원으로 늘린다는 계획이다. KMI는 홍콩의 한 투자자로부터는 1조2,000원 규모의 투자 의향서(LOI)를 받았다고 밝혔다
자본확충 방안에 대해 공종렬 KMI 대표는 "대기업 등 확실한 대주주가 없다는 지적이 있지만, 제4이통사는 대기업에 의존하면 안 된다"며 "부족한 자금은 공모와 은행으로부터 차입하면 된다"고 설명했다.
한편 LTE-TDD는 세계 LTE 시장에서 새로운 대세로 등장하고 있는 기술로, 국내외 장비 업체의 관심이 높다. 세계 최대 통신 시장인 중국의 경우 LTE-TDD를 차세대 통신 표준으로 정하고 상용화를 추진 중이다. KMI는 요금 정책으로 가입비를 폐지하고 월 3만원에 모바일 데이터 무제한 요금제를 제공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