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는 지난 2007년 최근 심장마비 환자가 늘고 있는 가운데 심정지 환자를 위한 응급처지 개선의 방안으로 전기충격기인 제세동기의 사용을 확대하기로 했다. 현재 국내 심폐소생술 실시율(1.4%)과 심정지환자 소생률(3,0%)을 각각 선진국 수준(15%, 20%)으로 끌어 올린다는 계획의 일환이었다.
이에 따라 보건 복지부는 공공보건 의료기관과 소방 구급대, 공항, 지하철역 등에 자동제세동기의 보급 대수를 2010년 2,600여대에서 현재 6,5000여대로 세배 가까이 늘렸다. 초기 응급처치가 관건인 심정지 환자를 발견ㆍ이송 단계에서 부터 대비해 소생률을 높힌다는 계산이었다.
하지만 일반인도 때와 장소와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는 자동제세동기에 대한 홍보와 교육은 미비하는 지적이다. 매년 보건복지부는 구조 및 응급처지 교육비 지원 명복으로 50여억원의 예산을 지출하고 있지만 자동제세동기와 관련한 국민들의 체감 정도가 부족하다는 것. 우리나라 심정지 생존율은 3%정도로 미국(8.4%), 일본(10.2%)에 비해 크게 낮은 수준이다.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자동제세동기의 존재와 그에 따른 학습을 위해 특정직업군 구조 및 응급처치 교육은 물론 자동제세동기 사용 홍보와 유치원 등을 대상으로 응급처치 이동식 교육 장비를 지원하고 있다”면서도 “홍보 예산은 한정 돼 있는데 자동제세동기의 보급폭은 부쩍 늘어 대중화에 어려움이 있다”고 토로했다.
관계자는 이어 “보통 영화나 드라마 등의 전기충격기 이미지를 자동제세동기와 연관시켜 작동에 어려울 것으로 생각하는데 간단한 이론 학습과 실습만으로 누구나 사용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현재 공공시설을 중심으로 보급된 자동제세동기의 보급을 가정집에도 도입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기되고 있다.
지난 2008년 복지부 조사 결과 국내 심정지 환자는 인구 10만명당 40~42명이 발생하는데 공공장소(26.6%)보다 가정(58.0%)에서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한 대학병원 교수는 “심정지 환자가 발생한 뒤 1분 안에 심폐소생술을 시작하고 3분 안에 제세동을 한다면 거의 70% 이상 환자를 살릴 수 있다”며 “심정지로 인한 사망을 줄이기 위해 주변사람들의 대응 능력이 가장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사진설명=지난 2009년 서부역 인근 도시철도사업소 교육장에서 KTX승무원들이 대한심폐소생협회 회원들로부터 자동제세동기 사용방법을 배우고 있다. (한국일보DB)
/김원진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