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웅진 법정관리 후폭풍] "혹시 우리도" 20위권 업체도 떤다

■ 건설사 위기감 확산<br>대부분 영업익 줄고 부채는 늘어<br>한곳만 무너져도 협력사 줄도산


시공능력평가 38위의 극동건설마저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를 택하면서 건설업체의 '줄 도산' 위기감이 커지고 있다. 특히 금융권의 건설업계에 대한 시각이 부정적으로 확연히 바뀌면서 협력업체는 물론 자금난을 겪고 있는 일부 대형 건설사들로 확산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된다.

A건설의 한 관계자는 "모그룹의 지원이 있었던 극동건설마저 법정관리행을 택한 것은 의외였다"며 "시평 20위권의 규모가 비교적 큰 건설사도 위험할 수 있다는 분위기가 확산되고 있다"고 말했다.


27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극동건설이 법정관리를 신청한 후 일부 건설사들에 대한 부도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전과 달리 20위권 이내의 건설사들도 위험해질 수 있다는 우려다. 이미 시평 13위의 쌍용건설이 유동성 위기 때문에 구조조정을 전제로 채권단의 긴급자금을 수혈 받은 바 있다

실제로 20위권 이내 대형 건설사들의 재무구조는 지속적으로 악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 영업이익이 감소세를 보이고 있으며 반대로 부채는 계속 늘고 있다.

지속적으로 유동성 위기설이 돌고 있는 D건설의 경우 올해 상반기 기준 매출액이 1조500억원으로 지난해 상반기(1조3,000억원)보다 20% 정도 감소했다. 반면 단기차입금 등 부채는 1,000억원 이상 증가했다. HㆍT, 또 다른 D건설 등 상당수가 영업이익이 줄어든 반면 부채는 지속적으로 늘어나는 악순환 구조를 보이고 있다.

한 건설업체 관계자는 "단기차입금 급증, 운영자금 용도의 회사채 발행이 늘어나는 것도 모두 건설사들의 유동성이 악화되고 있다는 증거"라며 "부동산시장 경기침체가 지속되면서 예전에는 드러나지 않던 잠재적 부실이 늘어나는 것도 문제"라고 말했다.


예전보다 개선되기는 했지만 프로젝트파이낸싱(PF) 보증잔액도 여전히 문제다. 대부분의 업체들은 자본금보다 많게는 10배 이상의 PF 보증잔액을 보유하고 있다. 부동산 경기 침체가 지속된다면 PF 보증 문제는 계속 건설사들의 발목을 잡을 수밖에 없다.

관련기사



최근에는 은행권마저 건설업체에 대한 자금지원을 주저하는 모습을 보이면서 상황이 더 심각해질 수 있다는 우려가 확산되는 양상이다.

김선덕 건설산업전략연구소장은 "금융권의 시각이 더 부정적으로 변하고 있는 듯하다"며 "앞으로 건설업체가 자금을 구하기는 더 어려워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위기가 대형 건설사로 번질 경우 협력업체 피해의 파장은 중견업체 부도와 차원이 다를 것으로 예상된다. 당장 극동건설만 해도 협력업체들의 하도급 대금, 상거래어음 피해금액이 2,000억원 수준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상위 20위권 이내 건설사 한 곳만 무너진다고 해도 수천억원대의 2차 피해가 생겨 협력업체 줄도산이 불을 보듯 뻔한 상황이다.

건설사의 부도가 계속되자 일각에서는 지난 2008년부터 진행해온 구조조정이 결국 아무런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실제로 경남기업의 경우 워크아웃을 졸업한 직후 또다시 유동성 위기에 몰리기도 했다.

이 때문에 남아 있는 건설사들에 대한 보다 엄격한 구조조정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박성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