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안보리 대북제재 결의] 각국 반응

"일제 환영… 北안보리 요구 수용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결의 내용에 대해 각국은 즉각 환영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각국 외무장관들은 북한이 대량살상무기 및 미사일 프로그램을 해체하고, 지체하지 말고 조건 없이 협상 테이블로 복귀하는 등 안보리 요구를 즉각 이행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하지만 국제 구호단체들은 대북 결의안이 북한 정권보다는 서민들에게 더 타격을 입힐 것이라며 우려를 표했다. 마거릿 베케트 영국 외무장관은 14일(현지시간) 유엔의 대북 결의안에 대해 “안보리가 국제사회의 강력하고 단합된 반응을 북한에 확실히 보여주는 결의를 통과시켜 매우 기쁘다”며 “결의안에서 명백하게 밝혔듯이 북한은 핵무기ㆍ대량살상무기와 탄도미사일 프로그램을 제거해야 한다”고 말했다. 필립 두스트 블라지 프랑스 외무장관도 성명을 내고 “북한의 행위가 용인될 수 없다는 점을 안보리가 만장일치로 명백히 보여줬다”며 “안보리는 현 위기를 평화적ㆍ외교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토대도 제시했다”고 평가했다. 이에 앞서 지난 13일 유럽연합(EU)의 주제 마누엘 바로수 집행위원장은 “세계는 북한의 핵실험에 통일된 대응을 한다는 분명한 신호를 보낼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국제 구호단체들은 대북 결의안 채택이 북한 정권보다 생활이 어려운 서민들에게 더 큰 타격을 줄 것이라며 우려를 표시했다. 평양에 머물고 있는 국제적십자사연맹(IFRC) 평양사무소 대표인 야프 티머는 최근 AFP와 가진 전화통화에서 “북한은 매우 취약한 국가로 많은 어려움이 있다”며 “일반인들에게 충격을 주지 않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세계식량계획(WFP)의 장 피에르 드 마저리 평양사무소 대표도 “(대북 제재가 향후) 정치적으로 어떻게 전개되더라도 어린이와 임산부 같은 가장 취약한 계층의 식량 사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를 바란다”고 촉구했고 ‘휴먼라이츠워치(HRW)’의 아시아지역 부책임자인 소피 리처드슨 역시 “대북 식량지원이 영향을 받을 경우 그것은 북한 주민에 치명적일 것”이라며 “국제사회가 북한 정부와 일반인들을 구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