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대기업 부채비율 1년새 '껑충'

지난해 6월 89%서 101%로…유동부채 32% 늘어 199兆<br>재벌닷컴 '매출상위 100社' 조사


최근 1년 동안 국내 대기업들의 단기부채가 급증하면서 부채비율이 크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재계 전문 인터넷 사이트인 재벌닷컴(www.chaebul.com)이 매출액 상위 1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한 부채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현재 유동부채 총액은 199조1,887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2.3% 증가했다. 유동부채는 1년 내에 갚아야 하는 단기차입금ㆍ지급어음ㆍ외상매입금ㆍ선수금 등을 뜻하며 이 같은 유동부채 증가로 매출 상위 100대 기업의 부채 총액도 6월 말 현재 320조6,925억원으로 1년 새 27.6%나 급증했다. 이들 기업의 평균 부채비율은 지난해 6월 말 89%에서 올해에는 101%로 높아졌다. 특히 최근에는 국내외 금융시장에서 금리가 오름세를 보이고 있어 기업들의 금융비용 부담도 한층 커지고 있다. 부채 증가 현황을 기업별로 보면 지난해부터 잇단 인수합병(M&A)에 나섰던 대한전선의 유동부채가 지난해 5,435억원에서 1조4,981억원으로 1년 새 176% 급증했고 84%이던 부채비율도 257%로 세배나 높아졌다. 한화석유화학도 지난해 6월 말 4,523억원이던 유동부채가 1년 사이 1조2,457억원으로 크게 늘었다. 대한해운ㆍ현대종합상사ㆍE1 등도 1년간 유동부채가 배 이상 증가했다. STX조선의 경우는 유동부채와 함께 장기성 부채도 급증해 부채비율이 326%에서 1,478%로 네배 이상으로 뛰었다. 아시아나항공ㆍSK네트웍스ㆍ동부건설ㆍ대한항공ㆍSTX엔진 등의 부채비율도 올해 상반기에 300%를 넘어선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삼성전자ㆍ현대자동차ㆍ포스코 등은 장ㆍ단기 부채가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이고 부채비율도 20~70%에 불과해 글로벌 기업다운 재무 건전성을 과시했다. 이밖에 롯데쇼핑ㆍLG디스플레이ㆍ삼성테크윈ㆍKT&Gㆍ삼천리 등도 부채 총액이 줄거나 자기자본이 늘어나 부채비율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 시장전문가는 “최근 몇 년 사이 무리한 M&A 등으로 부채비율이 크게 높아진 기업이 늘어나고 있는데 국내외 금리가 가파르게 오르고 있어 이들 중 자금난을 겪는 기업이 나오지 않을까 우려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