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인플레 기대심리 차단이 최우선 과제

물가불안이 갈수록 증폭되고 있다. 지난달 소비자물가는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무려 4.7%나 뛰었다. 지난 1월의 4.1%, 2월의 4.5%에 이어 상승폭이 갈수록 커지면서 한국은행의 억제선(4%)을 석달 연속 웃돌았다. 정부의 강력한 안정대책에도 불구하고 물가가 고공행진하자 인플레이션 기대심리도 커져 경제의 안정기조를 위협하고 있다. 지난달 물가가 크게 뛴 것은 신선식품을 비롯한 농축수산물 가격이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한데다 신학기와 이사철을 맞아 등록금과 사교육비, 전월세 가격이 크게 오른 데 기인한다. 집세의 경우 전세가 3.7% 오른 것을 포함해 3.2%나 상승하면서 2003년 8월 이후 가장 큰 폭으로 뛰었다. 중동사태 등에 따른 고유가로 석유류 제품 가격이 오른 것도 물가상승을 부추겼다. 정부는 다음달부터 특별한 변수가 없는 한 물가오름세가 꺾일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상기온ㆍ구제역이 종식되면서 농축수산물 가격이 안정세로 돌아서고 있고 수출호조 및 주식시장 활황 등으로 원화절상 압력이 강해지면서 환율이 추세적으로 하락해 물가에는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하지만 물가오름세가 쉽게 꺾일 것으로 속단하기는 이르다. 근원물가가 크게 뛰고 있기 때문이다. 농산물ㆍ석유류를 제외한 근원물가는 지난해 말까지만 하더라도 2% 이하를 기록했다. 그러나 올 들어서는 1월 2.6%, 2월 3.1%, 3월 3.3%로 상승폭이 커지고 있다. 서비스물가 상승이 가장 큰 원인인데 1월 공공서비스 요금 인상이 개인서비스 요금 인상으로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그 뿐만 아니라 원유를 비롯한 각종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소비재는 물론 철강 등 생산재 가격인상이 대기하고 있다. 고물가 상황이 지속되면 경제의 안정기조는 물론 산업평화도 기대하기 어렵다. 정부는 물가안정을 위해 관세인하, 경쟁촉진, 유통구조 효율화 등 다각적인 노력을 해왔으나 물가는 여전히 불안정하다. 중요한 것은 인플레이션 기대심리를 차단하는 일이다. 기대심리가 확산되면 물가는 걷잡을 수 없다. 미시적 대책과 함께 물가안정을 위해 금리와 환율 등 거시정책도 강화해나갈 필요가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