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대화록 증발에 여야 다른 주장 내세워…'없는 것vs못 찾는 것'

녹음파일도 못찾아…기록원 ‘핵심 빠진’ 자료 제출

국가기록원은 2007년 당시 노무현 대통령과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간의 남북정상회담 대화록을 보유하지 않고 있다고 여야 열람위원들에게 밝힌 것으로 확인됐다.

국가기록원은 지난 15일 대화록 열람을 위해 방문한 여야 위원들에게 ‘해당 문서를 찾을 수 없다’고 보고한데 이어 17일에도 ‘문서를 보유하고 있지 않다’는 입장을 전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화록 열람위원인 새누리당 황진하 의원은 18일 오후 긴급 개최된 국회 운영위원회 전체회의에서 “국가기록원이 그런 자료(대화록)는 보유하고 있지 않다는 입장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황 의원은 “(국가기록원이) 문서 목록에서 회의록이나 녹음기록물(음원파일)이 없음을 확인했다”고 밝혀 대화록의 기초자료인 음원 파일도 찾지 못한 사실을 확인했다.

이어 “위원들은 끝까지 해당 문건을 찾아본다는데 동의했다”고 전했다.

황 의원은 “민주당은 참여정부의 청와대 업무관리시스템인 ‘이지원’과 기록원 측의 시스템 차이로 검색을 (제대로) 하지 못했을 가능성을 지적하고, 그 결과를 보고하도록 (기록원측에) 요청했다”고 설명했다.


민주당 열람위원인 우윤근 의원도 “새누리당 열람위원들이 (대화록을 국가기록원이) 보유하고 있지 않다는 것을 확인해달라고 질의한 데 대해 국가기록원이 대화록은 없다는 것을 확인했다고 답변했다”면서 황 의원의 언급을 재확인했다.

관련기사



우 의원은 “기록원 측에 ‘현재까지 찾지 못한 것이 옳은 대답이다. 모든 방법을 다하지 않은 상태에서 없음을 확인했다고 하는 것은 납득이 안 된다’라고 질책했다”고 설명했다.

대화록을 제외한 제2차 남북정상회담 관련 자료는 이날 오후 1시15분께 국가기록원으로부터 국회에 제출됐다.

여야는 그러나 이들 기록물에 대한 열람 방법과 시기에 이견을 보였다.

우윤근 의원은 “민주당은 즉시 열람을 주장했지만 새누리당은 반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국회 운영위원장인 최경환 새누리당 원내대표는 회의에서 “기록원이 제출한 기록물은 운영위 소회의실에 보관하되 열람 시기는 추후 여야 열람단 대표위원이 협의해서 정하도록 했다”고 말했다.

이날 운영위 회의는 초반 30분 정도만 공개되고 비공개로 진행됐다.

/디지털미디어부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