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우체국을 지역주민 서비스 창구로"

전주우체국 개국 110돌 김준호 전북체신청장


"우체국을 지역주민 서비스 창구로" 전주우체국 개국 110돌 김준호 전북체신청장 정승량 기자 schung@sed.co.kr “지방 우체국은 우편은 물론 금융ㆍ민원ㆍ인터넷 등 시골주민들의 ‘종합 생활민원창구’입니다. 110년간 축적해왔던 경험과 노하우를 통해 새 110년의 주춧돌을 이곳에 놓겠습니다.” 김준호(사진) 전북체신청장은 ‘정보통신의 날’과 ‘전주우체국 개국 110주년’을 맞는 소회를 묻자 이 같은 대답을 내놓았다. 국내에 우정사업이 도입된 것은 지난 1884년 4월22일. 고종황제의 명으로 우편업무를 전담하는 ‘우정총국’이 이 날짜로 신설됐고 이날을 기념해 1956년 ‘정보통신의 날’이 제정됐다. 김 청장은 “12년 후인 1896년 전국에서 9번째로 전주에 지사가 설립되면서 전북 지역에서도 우편역사가 시작돼 올해로 110년을 맞았다”고 소개했다. 김 청장은 우정사업의 미래상으로 ‘지역밀착형 토털서비스 창구’라는 개념을 꺼냈다. “예컨대 무주ㆍ진안ㆍ장수 지역에 가보니 60세 이상 노년층이 전체 인구의 절반”이라며 “우체부들이 이곳에서는 ‘1인 봉사자’로 변해 활동 중”이라고 소개했다. 우체국택배를 통해 특산품 발굴이나 판로개척은 물론 구급약품이나 서류 등을 동네슈퍼에 주문해놓으면 우체부가 취합해 우편배달 과정에서 전달해주거나 홀로 사는 노인들을 수시로 방문해 건강 여부까지 체크해주고 있는데 이런 종류의 활동을 더 강화하겠다는 설명이다. 김 청장은 “역사적으로 우정제도는 우리나라 근대행정의 효시며 이후 전화ㆍ전기ㆍ철도도입 등 개화와 개방 물꼬를 텄다”며 “세계 최강 정보기술(IT)을 지역경제에 접목하는 데도 큰 관심을 갖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1905년 한일합방 때 일본이 통신 분야부터 합병한 것이나 공산국가들이 마지막까지 개방을 막았던 분야가 통신시장이라는 점은 국가기간산업인 통신의 중요성을 재차 상기시키고 있다”며 “IT산업의 경쟁력을 유지하는 데 국가적 관심을 다시 기울일 때”라고 강조했다. 김 청장은 인터넷강국의 산실인 정보통신부 정보화기획실 기획총괄과장을 거쳐 2월 신임 전북체신청장에 부임했다. 한편 정통부는 24일 노준형 장관 주재로 서울 청사에서 제51회 정보통신의 날 기념식을 가졌다. 입력시간 : 2006/04/24 17:33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