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부분마취 수술때 음악요법 큰효과

강북삼성병원 조사, 환자 심리적 불안 크게 낮아져

부분마취 상태에서 수술할 경우 환자가 원하는 음악을 들려주는 것이 환자의 심리적 안정에 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북삼성병원 마취과는 부분마취 후 수술한 환자 60명을 대상으로 음악을 들려준 환자(30명)와 음악을 들려주지 않은 환자(30명)의 심리와 신체 상태를 분석한 결과 수축기 혈압, 이완기 혈압, 맥박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음악을 들은 환자의 심리적 불안상태는 의미 있게 낮았다고 밝혔다. 연구실행에 앞서 환자의 질적 간호를 높이기 위해 지속적으로 실시한 사전조사의 경우 부분마취를 경험한 환자들은 수술 중 추위와 소음 등으로 인한 불안감을 호소했다. 추위는 보온요법을 실시한 후에는 만족도가 높아졌다. 수술 중 불안을 완화시키기 위해 환자들의 의견과 사전연구와 문헌고찰 등을 통해 음악요법의 필요성이 대두되어 대상자들이 선호하는 음악을 근거로 3가지의 음악장르를 실험도구로 사용했다. 실험군에게는 수술 중 환자가 좋아하는 장르의 음악을 MP3를 통해 들려주었으며 대조군은 귀마개를 이용해 수술 중 소음을 차단했다. 혈압 맥박과 같은 신체적 계측과 심리적인 안정정도를 측정하는 상태불안을 수술전, 수술중(수술시작 후 30분), 수술후(회복실 도착 후 10분) 총3회 측정했다. 그 결과 혈압과 맥박은 실험군과 대조군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가 나타나지 않은 것에 비해 불안감은 음악을 들은 군이 듣지 않은 대조군보다 통계학적으로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P<0.0001). 심리적 불안정도를 10점 척도로 측정한 상태불안은 실험군의 수술 전 측정값이 5.17 대조군이 4.83으로 불안정도가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수술 중 음악을 들은 군이 2.20, 대조군이 4.73으로 수술 중 음악을 들은 환자들의 불안정도가 현격히 낮아진 것에 비해 대조군은 특별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수술 후에는 수술이 끝났다는 안도감으로 인해 음악을 들은 군이 0.77 대조군이 1.80으로 모두 불안정도가 현저히 감소된 것으로 확인됐다. 수술이 끝난 후 수술에 대한 불편감이나 만족감에 대해 직접 질문을 한 결과 음악요법을 실시한 환자 중에는 불편을 호소하는 환자가 없었다. 특히 대부분 편안하고 심리적 측면에서 안정이 많이 된다고 응답, 수술 요법이 부분마취 수술환자의 상태불안을 완화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그 동안 음악요법을 시행한 128명을 대상으로 음악선호도를 조사한 결과 가요를 선호한 사람이 73명(57%)으로 가장 많았으며 클래식 41명(32%), 찬송가 14명(11%) 순으로 나타났다. 가요를 선호한 사람 중에는 발라드 풍의 조용한 음악을 선호한 사람은 45명이었으며 가요 중 트로트 음악을 택한 경우는 28명이었다. 연령대별로는 20~30대는 발라드풍의 가요를, 40대는 클래식을 50대 이상은 트로트를 가장 선호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