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노벨 경제학상에 파마ㆍ핸슨ㆍ실러 교수


올해 노벨경제학상은 미국 시카고대의 유진 파마(74), 라스 피터 핸슨(61) 교수, 예일대의 로버트 실러(67) 교수 등 미국인 경제학자 3명에게 돌아갔다.

스웨덴 왕립과학원 노벨위원회는 14일(현지시간) 자산가격의 경험적 연구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해 이들 3인을 공동 수상자로 결정했다고 발표했다.


노벨위원회는 "주식과 채권 가격을 예측하는 방법은 없지만 향후 3∼5년 정도 장기적 가격에 관해 예견하는 것은 가능하다"면서 "놀랍고도 모순적으로 여겨질 수 있는 연구 결과가 이들에 의해 만들어졌다"고 선정 사유를 부연했다.

관련기사



파머 교수는 1960년대 주식시장 내 단기자산 가격의 변화와 정보가 자산 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실러 교수는 브라질 인플레이션과 투자심리와의 상관관계를 연구했다. 이 밖에 핸슨 교수는 자산 가격 예측을 위한 통계학적 도구를 만든 공로가 인정됐다.

노벨경제학상을 마지막으로 지난 7일부터 시작된 노벨상 수상자 발표도 막을 내리게 됐다. 각 분야 노벨상 수상자는 메달ㆍ인증서와 함께 800만크로나(약 13억3,760만원) 상당의 상금을 받는다.

노벨상 시상식은 창시자 알프레드 노벨의 사망일인 매년 12월10일에 열린다. 장소는 노벨이 태어난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거행된다.

이연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