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저축銀 부동산PF 부실 '위험수위'

평균 연체율 10% 육박<br>최고 43% 달하는 곳도


부동산시장 침체가 금융권으로 전이되면서 저축은행들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이 위험수위를 넘나들고 있다. 특히 이들 저축은행 가운데 PF 연체율이 최고 43%에 달하는 곳도 있는 것으로 나타나 PF발 저축은행 자금경색이 중증에 접어든 것으로 파악됐다. 18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주권과 채권이 상장된 주요 21개 저축은행의 지난 3월 말 현재 PF 연체율은 9.86%로 지난해 말의 7.72%에 비해 2.14%포인트나 상승했다. 연체율만 해도 10%에 육박하는 것으로 자율 워크아웃 협약에 들어가 있어 연체율 산정시 제외되는 사업장과 지난해 자산관리공사에 매각한 부실 사업장을 더하면 실질 연체율은 10%를 웃돌 것으로 전망된다. PF 연체율이 높은 저축은행은 ▦A저축은행 43% ▦B저축은행 33.2% ▦C저축은행 30.1% ▦D저축은행 27.8% 등이다. 연체금액은 3월 말 현재 7,530억원으로 3개월 만에 1,730억원이나 불어났다. 연체금액은 지난해 6월 말 6,355억원에서 연말에는 5,800억원으로 줄어들었지만 올 들어 다시 증가하고 있다. 특히 금융 당국의 PF 대출 옥죄기 정책에도 불구하고 일부 저축은행의 PF 대출이 늘어나 21개 저축은행의 PF 대출잔액은 3월 말 기준 7조6,338억원으로 전년 말 대비 1,229억원 증가했다. PF 대출잔액이 계속 늘어나면서 저축은행 업계는 물론 금융업계 전반에 대한 위험요인이 제거되지 않고 계속 커지는 셈이다. 저축은행 업계의 한 고위관계자는 "지방 미분양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이상 저축은행 PF 연체율은 계속 높아질 수밖에 없다"며 "자산관리공사에 추가로 부실 사업장을 매각하는 것 외에는 대안이 없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