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언어/현대문학] 출제유형 숙지·이해력 키워라

#출제 유형 분석 토대로 감상 능력 키워라 현대시는 대게 세 작품 내외를 묶는 복합 지문의 형태가 일반적이다. 이 때 묶는 작품들은 소재나 주제, 표현 방법, 시적 화자의 태도 등에서 유사 성을 지니고 있게 마련이다. 과거에는 작품들의 공통점이 쉽게 눈에 띄었으나 2004 수능에서는 작품 자 체가 낯설고 세 작품의 공통점은 물론, 세 작품 중에서 두 작품만의 공통점을 이해하는 수준의 문제를 출제해서 학생들이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 또 기존에 분리 출제되고, 최근에는 낯선 작품을 발굴하여 출제하던 고전운문 문제까지 모의고사에서 복합 지문 구성으로 출제되어 학생들의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 현대시의 경우 알려진 작가의 대표작과 문학 교과서 중심의 작품 한 편, 그리고 잘 알려진 시인의 잘 알려지지 않은 작품이 묶여서 출제된다. 따라서 7차 교육 과정에 따른 18종 문학 교과서에 새롭게 실린 작품들을 중심으로 정리할 필요가 있다. 작가나 시대별보다는 작품간의 공통점이 있 는 것들을 묶어서 정리하는 것이 좋다. 고전운문은 현대시의 주제나 정서상의 공통점, 같은 소재의 사용 등 작품 내용의 맥을 중심으로 현대시와 마찬가지로 정리하면 된다. 최근 EBS 강의와 관련하여 발표된 2005 수능의 출제 경향 방향을 보면 이미 출제되었더라도 중요 작품들은 다시 출제될 가능성이 있다. EBS 교재의 수능 반영을 기본 방침으로 정해서 이번 수험생들은 기출 문제 에 다루어진 고전과 EBS 교재에 수록된 작품을 문제 중심이 아닌 작품 중심으로 정리할 필요가 있다. 현대시나 고전운문 모두 낯선 작품의 출제를 염두에 두지 않을 수 없으므로 개개의 작품 해석과 시어 분석에 집중하기보다는 반드시 출제되는 유형 을 숙지하고 그 유형이 요구하는 작품의 내용을 작품 속에서 찾아 낼 수 있는 분석 능력을 기르는 것이 중요하다. 주요 출제 유형으로는 시적 화자가 처한 상황, 이를 대하는 화자의 정서,이 정서를 드러내는 어조와 태도, 주제를 함축하는 시어 등이 있다. 이러한 것들을 토대로 작품의 내외적인 요건을 고려하여 감상할 수 있는지 를 묻는 종합적 감상에 관한 문제들도 출제 빈도가 높다. 또 시각 매체를통해 시구를 재구성하는 매체 통합 문제들도 출제되고 있으므로 시 내용이 매체로 전환될 때 적절한가를 평가하는 문제도 새롭게 출제되는 유형의 하 나이다. #폭넓은 사고력과 문학에 대한 이해력 키워라 현대 소설의 경우 산문의 특성상 단독 지문으로 출제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 제시되는 지문은 교과서 수록부분 중심에서 최근에는 작품의 특성을 가장 잘 드러낼 수 있는 부분을 제시하는 경향으로 바뀌고 있다. 인물 중심의 소설은 인물의 성격이 가장 잘 드러나는 부분이나 인물의 성격이 변화를 겪게 되는 부분, 사건 중심의 소설에서는 사건의 갈등이 심화 되고 해소되는 절정과 결말의 부분이 자주 출제된다. 현대 소설 역시 해방 이후의 낯선 작품들이 근래에 자주 출제되고 2004 수 능의 경우 70년대 후반 소설인 '중국인 거리'가 출제되어 학생들을 당황하 게 했다. 현대 소설의 경우 대표 작가들의 대표작들은 한정되어 있다. 그러므로 현대 소설은 아직 출제되지 않은 작가의 작품들을 중심으로 정리할 필요가 있다. 현대시와 마찬가지로 7차 문학 교과서에 수록된 작품들을 정리하고낯선 작품에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이 때 중심인물의 성격이나 사건의 흐 름과 같은 전체의 큰 틀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저작권자ⓒ 한국i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