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경영권 갈등이 원인"… 그룹 후계구도 '흔들'

신한銀, 신상훈 금융지주사장 검찰 고소<br>"라응찬회장과 경영권 갈등이 원인" 분석<br>후임 조속인선 표명불구 일정 등 안갯속


신상훈 신한금융지주 사장이 2일 비리혐의로 검찰에 전격 고발되면서 '라응찬 신한지주 회장→신상훈 사장→이백순 신한은행장'으로 이어지는 신한금융그룹의 경영후계 구도가 흔들리게 됐다. 이런 가운데 라 회장은 금융실명제법 위반 혐의로 금융당국의 조사를 받고 있는 상황이어서 조사 결과에 따라서는 초유의 경영공백 사태도 우려되고 있다. 신한지주는 조만간 신 사장을 해임하고 후임 인선에 착수해 충격을 최소화하겠다는 입장이지만 마땅한 후임 후보를 찾기는 쉽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이백순 행장이 내사 주도한 듯=신한은행이 전임 행장이던 신 사장을 이례적으로 고발한 것은 은행 안팎에서 신 사장의 배임 및 비리혐의에 대한 제보와 소문이 이어진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금융권의 한 관계자는 "신 사장이 신한은행장으로 재임하던 시절부터 피상적으로 비리 혐의에 대한 소문이 돌기 시작했다"고 전했다. 또 다른 금융권의 관계자는 "외부에서 신 사장에 대한 각종 민원이 접수됐던 것으로 안다"며 "현 은행 경영진이 이를 인지하고도 진상을 파악하지 않으면 법적 책임을 져야 하는 만큼 조사에 착수했고 상당 부분 혐의를 확인해 검찰에 고발한 것 같다"고 말했다. 신 사장에 대한 신한은행의 내사는 이 행장이 은밀히 주도한 것으로 보인다. 통상적으로 은행들은 업무와 관련한 임직원의 배임이나 횡령 등을 사전ㆍ사후적으로 걸러내기 위해 검사부를 두고 있는데 신한은행 검사부는 신 사장의 내사 과정에 전혀 참여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기 때문이다. 사안이 워낙 민감한 만큼 이 행장이 별도의 비선을 통해 진상을 파악하고 나선 것으로 보인다는 게 금융권의 분석이다. ◇라응찬ㆍ이백순-신상훈 경영권 갈등=금융권 일각에서는 이번 사태가 신한금융그룹의 경영권을 둘러싼 경영진 간 갈등의 결과로 빚어진 것이라는 데 대체로 공감하는 분위기다. 라 회장은 과거 박연차 태광그룹 회장에게 가야C.C 지분을 인수하기 위해 50억원을 전달하는 과정에서 밝혀진 차명계좌와 관련해 금융실명제법 위반의 논란에 서 있는데 신 사장이 이런 실명제 위반 혐의가 불거진 과정에 일부 연관돼 있다는 소문이 돌았다. 그러나 이에 대해서는 반론도 만만치 않다. 신한금융그룹은 모태가 영남권임에도 불구하고 호남권 인사인 신 사장을 최고경영자(CEO)의 반열로 올린 것이 라 회장인 만큼 라 회장이나 신 사장이 서로 대치할 이유가 없다는 것이다. 금융권의 한 관계자는 "신 사장이 신한은행 임원 시절 이른바 '4룡'으로 불리던 쟁쟁한 임원들이 있었는데 은행 내 예상을 깨고 4룡이 아닌 신 사장을 발탁한 것이 라 회장이었다"고 전했다. 그는 "오히려 신 사장이 의외로 승승장구하면서 그에게 밀려난 일부 관계자들을 중심으로 반 신상훈 움직임이 많았다"며 "신 사장과 라 회장 간 불화설도 반(反) 신상훈 라인 중 일부를 통해 퍼진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신한지주 사장, 후임 안갯속=신한지주는 최대한 이른 시일 내에 이사회를 열고 신 사장의 대표이사직을 박탈하기로 했다. 대표이사 박탈과 별도로 신 사장의 이사직은 주주총회를 통해 결정되는 데 이 역시 이사회가 열린 후에야 일정이 잡힐 수 있다. 금융권은 신한지주의 이사회 개최가 다소 시간이 걸릴 것으로 내다봤다. 신한지주는 4명의 사내 이사와 8명의 사외이사로 구성돼 있는데 사외이사 중 재일교포와 신한지주의 제휴사인 BNP파리바 측 임원이 포함돼 있어 이들과의 일정을 단기간에 맞추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국내 사외이사 중 상당수도 2일 신한지주의 공식 발표가 있은 지 수시간이 지난 후에도 신 사장의 해임과 관련한 이사회 소집 등의 통보를 전혀 받지 못했다. 이사회가 열린다고 하더라도 후임 사장을 물색하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지주 내 선임급 부사장들은 지난달 말 재연임됐거나 물러난 상태다. 그룹사 CEO 중에서는 가장 선임인 이재우 신한카드 사장의 경우 이달 말 임기가 만료되기는 하지만 이미 지난달 말 신한지주 이사회에서 임기 연임이 내정됐다. 따라서 일각에서는 전임 경영진을 다시 중용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특히 신 사장에게 지주 CEO직을 물려주고 명예롭게 은퇴했던 이인호 전 사장 등이 하마평에 오르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후임 인선구도는 안갯속이라는 게 신한금융그룹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