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LH사태 악화일로] 사업 구조조정 예상보다 커질수도

채권발행 등 자금조달 지연… 이자부담도 눈덩이…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추진하고 있는 사업 구조조정의 폭이 예상보다 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신규 자금조달용 채권을 발행하는 데 꼭 필요한 LH법 개정안의 국회 통과가 계속 지연되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지난해 통합 이후 금융부채가 15조원(11월 기준 90조원)이나 늘었고 하루 이자 부담액도 20억원 넘게 증가해 하루 100억원(11월 기준 106억원)에 이르는 등 재무 상황이 급속도로 악화되고 있다. LH가 올 초 제시했던 사업비 조달계획을 보면 채권 발행과 판매를 통한 자금조달 비중은 5대5 수준이다. LH는 올해 전체 사업자금 목표치 44조3,000억원 가운데 채권 발행으로 23조원(52%), 토지 등의 판매대금으로 21조3,000억원(48%)을 조달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지난 11월 말 현재 채권으로 조달한 자금은 8조4,000억원, 판매로 조달한 자금은 11조2,000억원에 불과하다. 계획 대비 채권은 36.5%, 판매는 39.4%에 그치고 있다. 부동산경기 침체로 판매실적도 극도로 부진했다. LH는 모자라는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올해 토지수익연계채권 2조7,600억원과 자산담보부증권(ABS) 2조1,000억원 등을 발행했지만 이는 일반적인 자금조달 방법이 아니어서 자주 사용할 수 없다. 토지수익연계채권 등 모든 방법을 동원해 조달한 자금은 총 24조4,600억원. 목표치 44조3,000억원 대비 55% 수준에 불과하다. LH는 신규 사업장 138곳에 대해 사업 구조조정을 한다는 전제 아래 내년 사업비를 30조원 이하로 낮출 계획이지만 현재와 같은 자금조달능력으로는 이마저도 쉽지 않다. 토지 보상이 이뤄지지 않은 신규 사업장뿐 아니라 기존 사업장의 구조조정 폭도 커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사업지구 하나하나에 수천, 수만명에 달하는 주민 재산이 달려 있는 것을 감안하면 국회와 정부의 재무개선대책이 늦어질수록 파급효과를 감당하기 힘들어진다. 국토부의 한 관계자는 "공사법에 근거해 LH는 늦어도 이달 말까지는 내년도 사업계획을 제출해야 한다"며 "이사회 등을 열어 사업계획을 변경할 수는 있지만 관건은 향후 자금조달계획이 어떻게 세워지느냐에 달렸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김정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