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내년 서울 학교급식 재료 사후안정성 검사 10배로 늘려

서울시교육청이 학교급식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내년도부터 재료 사후안정성 검사량을 10배로 늘릴 예정이다.

서울교육청은 학교보건진흥원에 자체 잔류농약분석실을 설치해 학교급식에 들어가는 식재료의 안전성을 평가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라고 11일 밝혔다.


현재 서울교육청은 시내 초·중·고교에 들어가는 급식 재료 중 일부를 무작위로 추출해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이나 농산물품질관리원에 맡겨 안전성 검사를 시행하고 있다.

이들 기관에서 무료로 검사할 수 있는 샘플은 연간 300∼400건가량이다. 시내 급식을 하는 학교가 약 1,300개교인 점을 고려하면 한 학교당 3년에 한 번꼴로 사후 검사를 하는 셈이다.

그러나 최근 학교급식 안전성에 대한 우려가 커짐에 따라 서울교육청은 자체 분석실을 마련하기로 했다. 이 경우 연간 3,600∼3,700건, 한 학교당 2.5∼3회가량 검사를 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지금까지는 친환경농산물도 샘플조사 대상에 포함됐으나 이중조사라는 지적이 나와 앞으로는 인증서와 검사성적서 등 서류상 문제가 없으면 별도의 샘플조사를 하지 않도록 하기로 했다.

관련기사



서울교육청은 이런 방안을 추진하기 위해 최근 ‘학교급식정책 현장 정착 태스크포스(TF)’를 꾸렸으며 내년 1월까지 최종안을 확정해 새 학기가 시작되는 3월부터 시행할 계획이다.

TF는 서울 인근 물류센터와 연계해 학교급식 납품업체가 제공하는 식재료의 안전성을 사전에 검사하는 방안도 추진하고 있다.

서울교육청은 서울이나 경기지역에 안전성 검사 기능을 갖춘 물류센터가 4∼5곳가량 되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학교급식 납품업체가 이들 센터와 계약을 맺어 센터 내 식재료를 저장하고 안전성 검사를 거쳐 학교로 납품하는 방식이다.

서울교육청 관계자는 “납품업체를 선정할 때 되도록 물류센터를 이용할 수 있는 업체를 고르도록 할 방침”이라며 “사전·사후 안전성 검사 강화로 학교급식에 대한 안전성과 신뢰도가 높아질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다.

/디지털미디어부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