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대우조선 인수 우리가 적임" 유력후보 3사 전략은…






올해 인수합병(M&A) 시장의 최대 매물인 대우조선해양의 인수전이 본격 개시됨에 따라 인수 희망업체들의 움직임도 분주해지고 있다. 포스코와 GSㆍ한화 등 유력 인수후보들은 저마다 "우리가 인수의 최적임자"라며 인수를 위한 명분 쌓기에 나서는 한편 구체적인 전략 점검에 들어갔다. 이들은 대우조선을 인수해 신성장동력으로 삼겠다는 비전을 공통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또 해양 시추 및 생산설비 분야에서 강점을 갖고 있는 대우조선해양을 인수할 경우 시너지 효과를 거둘 수 있다는 점도 명분으로 내걸고 있다. 포스코 "풍부한 자금력 바탕 시너지 효과 극대화" 포스코는 인수후보들 중 가장 풍부한 자금력과 시너지 효과를 바탕으로 대우조선해양의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다는 점을 적극적으로 강조할 계획이다. 내부적으로는 이미 대우조선해양 육성방안에 대한 청사진을 그려놓은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포스코의 현금성 자산은 6조원, 이익잉여금은 약 20조원 정도로 추정된다. 경쟁사인 GSㆍ한화에 비해 월등한 자금력을 갖고 있기 때문에 '고액 베팅'에 별 부담감이 없다. 또 풍부한 자금력은 대우조선해양에 대한 추가투자를 통해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대우조선해양의 글로벌화나 생산설비 확대 등에 언제든지 대규모 자금을 투자할 수 있기 때문이다. 포스코의 한 관계자는 "재무구조가 탄탄한 포스코가 대우조선해양을 인수한다면 공격적인 투자가 가능해질 것"이라며 "해외시장 진출, 고부가가치 선박 개발 등 당면한 과제들을 직접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포스코는 또한 철강 부문은 물론 계열사들 간의 시너지 효과가 크다는 점도 집중적으로 부각시킬 방침이다. 포스코가 고부가가치 후판을 개발해 대우조선해양에 공급하면 선박의 품질 및 가격경쟁력을 높일 수 있고 철강과 조선산업이 패키지 형태로 해외에 진출할 경우 원자재 수급이 원활해지는 등 시너지 효과가 기대된다는 것이다. 또한 계열사인 포스데이타의 와이브로 원천기술과 산업기기 제어컨트롤 전문회사인 포스콘의 제어기술을 선박에 접목하면 선박의 부가가치를 더욱 높일 수 있다는 것이다. 회사 측은 "대우조선해양의 기업가치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전후방 기업들은 물론 연기금 등 재무적 투자자들과도 컨소시엄을 추진하고 있다"며 "어떻게 하면 대우조선해양을 세계 최고의 조선기업으로 육성할 수 있느냐에 초점을 맞춰 인수전략을 짜고 있다"고 전했다. GS "글로벌망 적극 활용 차별화 전략에 승부" GS그룹은 자신들이 갖고 있는 글로벌 네트워크를 활용할 경우 대우조선해양의 인수 시너지 효과가 극대화될 것이라는 점을 집중 부각시키고 있다. 해외 네트워크를 활용하면 영업에서 수주, 생산물 인도에 이르는 전체 ‘가치 사슬(value chain)’에서 대우조선해양의 핵심역량을 더 키울 수 있다는 ‘차별화 전략’을 내세우고 있는 것이다. GS 측은 “포스코가 대우조선해양에 기여할 수 있는 것은 구매에 한정돼 있고 철강업체의 조선사업 수직계열화는 시장에서 이뤄지던 구매ㆍ조달활동을 내부화하겠다는 것”이라면서 “이런 것은 시너지라고 볼 수 없다”며 자신들이야말로 인수의 적임자임을 자처하고 있다. GS는 기본적으로 조선ㆍ해양사업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국내외 전략적 투자자(SI)와의 공동 인수를 계획하고 있다. 그룹의 한 관계자는 “이미 다수의 국내 업체들이 GS와의 컨소시엄 구성을 위해 의사를 물어왔다”면서 “인수자금을 댄 뒤 향후 차익을 얻으려는 회사가 아니라 사업 시너지를 낼 수 있는 기업들을 모아 최고의 컨소시엄을 구성하겠다”고 밝혔다. GS 측은 또 “경쟁기업들도 이구동성으로 해양플랜트 및 에너지 관련 선박에서의 시너지를 주장하고 있으나 40년간 에너지 사업을 영위하며 글로벌 네트워크를 형성한 GS에 비하면 이들이 주장하는 시너지 효과는 극히 제한적”이라며 이런 부분도 인수전에서 명확하게 주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GS는 최근 들어 최고경영진의 의지가 높다는 면도 강조하고 있다. 이는 GS그룹의 ‘허씨 일가’ 주요 주주가 50여명에 달해 총수의 의견이 단시간에 전달되는 한화 등에 비해 결정적인 의사결정이 늦어질 수 있다는 일각의 시선을 의식한 발언으로 보인다. 한화, "인수한후 집중 육성 고용도 철저히 보장" 한화는 ‘인수 후 통합’의 국내 최고 전문가임을 주장한다는 전략을 세웠다. 인수전에서 대우조선해양 육성에 대한 청사진을 집중 제시해 높은 평가를 받겠다는 전략이다. 실제 한화는 지난 1982년 한국다우케미컬ㆍ한양화학(현 한화석유화학), 1985년 정아그룹(현 한화리조트), 1986년ㆍ2000년에는 한양유통ㆍ동양백화점(현 한화갤러리아), 2000년에는 대한생명을 인수한 뒤 집중 육성해 핵심 계열사로 삼고 있다. 한화는 고용보장도 내세우고 있다. 한화그룹의 한 관계자는 “한화의 사훈이 ‘신용과 의리’이며 그동안 한화는 인수든 피인수든 고용만은 철저히 보장했다”면서 “대우조선해양 임직원들과도 인간적 결합을 이뤄내 조직력의 시너지를 창출할 자신이 있다”고 장담했다. 한화는 자금에 대한 시장의 의심어린 시선을 잠재울 만한 명쾌한 자금 계획도 이미 마련했다고 밝혔다. 그룹 관계자는 “보유현금과 유동자산 2조원이 있고 대한생명과 한화건설을 상장할 경우 약 3조원의 현금이 들어오게 되며 또 필요 시 현금화할 수 있는 부동산이 2조원가량 된다”며 “사실 자금 동원을 위해 어떤 업체를 끌어들이느냐는 가장 마지막에 고려해도 되는 부분”이라고 자신감을 보였다. 시장에서는 한화의 가장 큰 강점으로 ‘총수의 의지’를 꼽고 있다. 결정적인 순간에 김승연 회장의 전화 한 통이면 그 자리에서 과감한 베팅이 이뤄질 수 있는 의사결정 구조라 막판까지 상대를 위협할 수 있는 상대라는 뜻이다. 김 회장은 2000년 대한생명 인수 때도 의향서를 직접 들고 갈 정도로 인수 전 과정을 주도했으며 이번 대우조선해양에 대해서도 세밀한 부분까지 직접 챙기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