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폭스바겐 이어 아우디·벤츠도… 수입차 전면 조사해야

폭스바겐의 디젤차량 배기가스 조작 논란이 일파만파로 번지고 있다. 파문이 아우디·스코다 등 폭스바겐 계열사의 다른 브랜드로 확산되는 가운데 메르세데스벤츠가 연비를 과장했다는 주장까지 불거졌다. 벨기에 환경단체 T&E의 보고서를 인용한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벤츠 일부 모델의 연비가 회사 발표보다 48%나 높았다. 특히 벤츠A·C·E클래스 모델의 실제 연비는 발표보다 50% 이상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국내에서 많이 팔리는 차종인 BMW5시리즈와 푸조 308도 50% 가까운 차이를 보였다. 벤츠와 BMW 측에서 "T&E의 테스트가 적절하다고 볼 수 없다"고 의문을 표시했지만 이들 업체의 연비 뻥튀기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이런 상황이라면 각국 정부의 조사·수사가 폭스바겐에 그치지 않고 유럽 자동차 업계 전반으로 확산되는 것은 시간문제다. 수입차 판매가 급증하고 있는 우리나라 입장에서도 강 건너 불이 아니라는 얘기다. 환경부가 국내 수입 디젤차 현황을 파악하고 다음달에 제타·골프 등 폭스바겐 디젤차량 4종의 조사에 나선다니 다행이다.

관련기사



무엇보다 유로6 기준 차량에 대한 조사가 끝나는 대로 유로5 차와 다른 브랜드로 조사를 확대하기로 한 것은 옳은 결정이다. 이번 배기가스 조작파문에 휩싸인 디젤차 대부분이 유로5 기준이어서 철저한 검증은 당연한 수순이다. 폭스바겐의 속임수가 사실로 확인되면 한·유럽연합(EU) 자유무역협정(FTA) 규정으로도 처벌이 가능하다고 한다.

배출가스 저감장치를 승인검사 때만 작동시키고 도로주행시에는 꺼지도록 하는 소프트웨어 설치 등의 '임의설정'을 한국과 EU 모두 금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조사를 결정한 이상 신속하게 임의설정 여부를 밝혀내 필요하다면 리콜 등 조치를 취해야 할 것이다. 소비자의 불안감이 높아지고 있는 만큼 차제에 모든 수입 디젤차에 대한 전면적인 연비 조사도 겸행할 필요가 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