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이론 위주의 경제 교과서 실생활 중심 쉽게 바꾼다

내년부터 수업시간도 확대

내년부터 초∙중∙고교의 경제 관련 교과서 내용이 이론 위주에서 시장경제의 이해 중심으로 바뀐다. 경제수업 및 경제 연계수업 시간도 대폭 확대된다. 정부는 7일 윤증현 기획재정부 장관이 주재한 위기관리대책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을 뼈대로 하는 '경제교육 활성화를 위한 종합대책'을 확정해 발표했다. 윤 장관은 "합리적인 경제교육은 선택이 아닌 필수"라면서 "우리 경제 선진화를 위해 효율적인 정책뿐만 아니라 국민들의 경제현상에 대한 인식 및 판단능력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정부는 내년부터 고교 사회와 고교 경제, 중3 사회 등의 교과서를 실생활과 연계된 이해하기 쉬운 경제교과서로 개정하기로 했다. 또 개정된 교과서에는 저축과 투자, 신용관리 등 개인금융 관련 내용을 새로 담기로 했다. 고교 사회는 내년부터, 중3 사회와 고교 경제는 오는 2012년부터 개정된 교과서를 보급할 계획이다. 특히 정부는 초∙중학교 과정부터 시장경제원리를 이해할 수 있도록 경제교육을 강화하고 현재 31시간인 '중3+고1' 경제수업시간을 내년에는 41시간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아울러 교과서 이외에 경제신문과 경제교육 포털사이트 등 보조교재도 활성화할 계획으로 건국 이후 60년간 경제발전과 경제정책에 관한 자료를 총망라한 '한국경제 60년사'의 보급판을 내년부터 중∙고교 학습자료로 활용하기로 했다. 일반계 고교 경제과목이 확대될 수 있도록 수능 경제 과목 난이도를 조정하고 대학 상경계열 입시에도 반영되도록 대학들과 협의해나가기로 했다. 체험형 경제교육도 강화된다. 학교 안에서 체험형 경제교육을 하는 경제연구학교 지정을 올해 48개교에서 내년에는 96개교로 확대하고 금융교육 시범학교도 지속적으로 늘리기로 했다. 또 중3ㆍ고1 사회과목 수업 담당교사는 기초 경제교육 과정 이수를 유도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학교 밖에서 이뤄지는 체험행사로 전경련과 대한상의ㆍ기업 등의 기존 체험교육 실태를 분석해 모범사례를 개발해 보급하며 경제 관련 부처들은 금융캠프와 기업가정신 주간 실시, 산업현장 방문 프로그램 개발, 청소년 창업교육 등의 프로그램을 확대하기로 했다. 정부는 경제교육 활성화를 위한 협력 체계를 재정비해 재정부를 간사로 하는 실·국장급 협의회를 구성하고 민간 부문에서는 경제교육협회와 전경련ㆍ대한상의ㆍ무역협회ㆍ한국은행ㆍ한국개발연구원 등의 유기적 협력체계를 갖추기로 했으며 지방은 11개 지역경제교육센터를 중심으로 실무협의회를 운영하기로 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