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폐수 없는 폐수처리장?

전국 132개 폐수종말처리장이 하루 104만톤의 폐수를 처리하도록 지어졌지만 실제 유입되는 폐수는 56.8%(59만톤)에 불과했다. 27일 환경부에 따르면 4∼6월 폐수처리장의 운영실태를 점검한 결과, 폐수유입 비율은 산업단지 폐수처리장 55개가 57.8%에 머물고 농공단지 폐수처리장 77개가 39.6%에 불과했다. 폐수유입량이 시설용량 대비 80% 이상인 곳은 13개에 그치고 30% 미만인 곳은 46개에 달했다. 특히 충북 음성 소이처리장의 유입률은 0.3%, 북제주 구좌처리장은 3%, 원주 동화처리장은 4.4%, 익산 황등처리장은 6.9%, 단양 적성처리장은 8.2%로 유명무실한 상태다. 폐수유입률이 저조한 것은 공단에 들어오기로 예정된 공장들이 입주를 취소했거나 경제위기 당시 영세공장들이 문을 많이 닫았기 때문이다. 환경부는 유입률이 30% 이하인 폐수종말처리장의 경우 각 지방 환경청과 유입률을 높이기 위한 자발적 협약을 체결하고 주변지역의 생활하수를 함께 처리토록 하거나, 비효율적으로 운영되는 시설을 폐쇄해 인근 처리장에 통합하도록 했다. 가동률이 3.6%에 불과한 함안 법수처리장은 연말까지 폐쇄될 예정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