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北개혁·개방 가속도 붙을듯

김정일, 7박8일 中방문 마치고 평양으로<br>수행원 학습분위기 진지…대담한 조치 점쳐<br>전문가들 "6자회담 조만간 재개 가능성 높다"

댜오위타이 들어가는 金위원장 일행 김정일 위원장이 7박8일간의 중국 방문을 마치고 특별열차편으로 평양으로 돌아갔다. 김위원장이 탑승한 것으로 추정되는 차량 행렬이 지난 17일 오전8시30분쯤 베이징 댜오위타이(釣魚臺)로 들어가고 있다. /연합뉴스(SBS방송촬영)

댜오위타이 들어가는 金위원장 일행 김정일 위원장이 7박8일간의 중국 방문을 마치고 특별열차편으로 평양으로 돌아갔다. 김위원장이 탑승한 것으로 추정되는 차량 행렬이 지난 17일 오전8시30분쯤 베이징 댜오위타이(釣魚臺)로 들어가고 있다. /연합뉴스(SBS방송촬영)

댜오위타이 들어가는 金위원장 일행 김정일 위원장이 7박8일간의 중국 방문을 마치고 특별열차편으로 평양으로 돌아갔다. 김위원장이 탑승한 것으로 추정되는 차량 행렬이 지난 17일 오전8시30분쯤 베이징 댜오위타이(釣魚臺)로 들어가고 있다. /연합뉴스(SBS방송촬영)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이 7박8일간의 중국 방문을 마침에 따라 중국식 경제특구를 모델로 한 북한의 개혁ㆍ개방에 가속도가 붙을 것으로 예상된다. 대부분의 일정을 ‘중국식 개방 배우기’에 초점을 맞춘 김 위원장은 지난 17일 후진타오(胡錦濤) 중국 국가주석을 만나 북한의 개혁ㆍ개방에 대한 기본입장을 분명히 하면서 중국의 전폭적인 도움을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따라서 김 위원장이 중국의 도움을 받아 외자유치를 통한 경제회생의 기회로 삼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실제 김 위원장의 이번 방중 행보도 철저히 ‘중국식 개방 배우기’에 초점이 맞춰졌다. 지난 92년 시작됐던 덩샤오핑(鄧小平)의 ‘남순(南巡) 코스’를 밟으며 중국의 대외개방 실험장인 광저우(廣州)와 선전 등지를 방문한 것은 중국식 개혁을 모델로 북한도 변해보겠다는 강력한 의지의 표현으로 해석된다. 특히 후 주석이 지난해 10월 북한을 방문했을 때 “북한이 시장경제의 문을 더욱 넓히면 더 많은 지원을 하겠다”고 언급한 후 이뤄진 것이어서 후 주석의 개방확대 권유를 수용하고 대외개방에 대한 북한의 의지를 다시 한번 확인하는 계기가 됐다. 김 위원장은 물론 수행원의 발걸음에 북한의 개혁ㆍ개방에 대한 강렬한 열망이 담겨 있다는 점에서도 앞으로 ‘대담한 조치’가 나올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한 외교소식통은 “예전과는 달리 수행원의 학습 분위기가 매우 진지했다”며 “북한의 개혁에 대한 시각이 달라졌고 무엇인가 크게 변할 것 같은 느낌이 들었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이 이번 경제학습에 고위 관리들을 대거 동원한 것도 바로 이들의 시각을 교정, 이른 시일 내 과감한 개혁을 단행하려는 의도가 내포돼 있다는 분석이다. 구체적으로는 신의주 특구와 중국 동북 3성을 연계한 발전구상을 시작으로 지금까지와는 다른 개혁조치들이 잇따를 것으로 조심스럽게 전망되고 있다. 중국과 북한 사정에 밝은 한 외교통은 “김 위원장이 고위 관리들에게 중국의 개혁 현장을 몸소 체험케 한 것은 중국의 발전상을 모델로 삼아 북한의 변화를 앞당기기 위한 신호를 보낸 것”이라며 “이는 북한의 향후 진로와 선택이 무엇인지를 예고하는 대목”이라고 평가했다. 김 위원장의 이번 방중은 또 미국의 대북 금융제재로 인한 위기감을 해소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는 점에서도 주목된다. 김 위원장은 후 주석과 만난 자리에서 경협협조와 함께 달러화 위폐 문제와 6자회담 재개를 위한 협조방안 등을 집중 논의, 이 같은 전망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이에 따라 교착상태에 빠진 6자회담 재개의 실마리가 풀릴 것으로 전문가들은 내다보고 있다. 베이징의 한 외교소식통은 “김 위원장과 후 주석이 6자회담 교착의 최대 걸림돌인 미국의 대북 금융제재를 풀기 위한 방법에 대해 장시간 논의했기 때문에 6자회담이 조만간 열릴 가능성이 높다”며 “6자회담의 북한측 수석대표인 김계관 외무성 부상과 미국측 수석대표인 크리스토퍼 힐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가 18일 베이징에서 만난 것도 6자회담 재개에 무게를 더하고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