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한나라당 운명 걸린 대선후보 경선

한나라당 양대 대선주자인 이명박 전 서울시장과 박근혜 전 대표가 11일 당 경선후보 등록을 함으로써 퇴로 없는 70일 간의 대회전이시작됐다. 공직선거법상 당내 경선후보로 등록하면 탈당해 대선에 출마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두 사람은 물론 다른 출마자들도 경선에 최선을 다할 수밖에 없게 됐다. 국민 지지율이 가장 높은 정당의 경선답게 멋진 정책대결로 국민의 기대에 부응해야 한다. 범여권이 적전분열 상태인데다 지지율이 높은 한나라당 대선후보로 결정되면 그만큼 유리하기 때문에 경선이 혼탁해질 가능성이 있고, 이미 그런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현재 ‘대세론’을 내세우는 이 전 시장과 ‘대망론’을 주장하는 박 전 대표가 박빙의 다툼을 벌이고 있어 한시도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이다. 최대 변수라고 할 검증 문제는 물론 경선 세부규칙, 범여권 정계개편 등 뇌관이 줄지어 있다. 최근 노무현 대통령은 범여권의 대통합을 지원하기 작심한 듯 중립을 지키지도 않고 한나라당을 노골적으로 공격하고 있다. 이때마다 분노하고 반발하면 대통령의 ‘노림수’에 빠질 수도 있다. 감정적인 대응보다 법적으로 맞서는 성숙한 자세를 보여야 한다. 대통령의 발언을 무시하고 본선 승리의 선행조건이라고 할 경선을 훌륭하게 치르는 데 당력을 모으는 것이 지금 한나라당이 해야 할 일이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지난 두 번의 대통령선거에서 석패한 원인을 곰곰이 되씹어야 한다. 바로 오만 때문이다. 이제는 경선과정부터 국민의 소리에 귀를 기울이는 겸허한 자세가 요구된다. 현재 검증 문제를 둘러싼 ‘이ㆍ박’ 양대 진영의 공방전이 혼탁 조짐을 보이는 것도 국민을 무시한 오만이라고 할 수 있다. 검증도 국민이 납득할 수 있도록 폭로전보다 사실을 중심으로 차분하게 진행해야 하는 것은 물론 이 전 시장의 ‘대운하’ 등 경제정책과 박 전 대표의 ‘줄푸세(세금은 줄이고 규제는 풀고 법질서를 바로 세운다)’ 정책의 허점을 파헤치는 정책대결을 벌이는 것이 중요하다. 경선은 대선을 위한 최고의 ‘흥행카드’라는 점에서 한나라당은 모범적인 경선으로 정당정치의 수준을 한 단계 높여주기 바란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