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이번주 「국제금연대회」 북경서/중 담배산업정책 고민

◎“비도덕” 비난불구 재정 기여도 높아중국정부가 담배산업의 앞날을 놓고 골머리를 앓고 있다. 정부가 직접 나서 대대적인 금연운동을 펼치고 있지만 담배산업이 국가재정에 기여하는 바가 커 선뜻 담배생산을 줄일 수도 없는 입장이기 때문이다. 이붕총리가 담배를 파는 것은 비도덕적이라고 주장하는 가운데 이번 주 개도국에서는 처음으로 북경에서 제 10차 흡연에 관한 국제회의가 열리게 돼있어 중국내 담배산업에 관한 논쟁은 더욱 뜨거워질 전망이다. 중국은 국고수입의 10%를 담배산업에 의존하고 있으며 세계 최대 담배회사인 중국국가담배공사(CNTC)는 90년대 들어 선진 외국담배회사와 제휴, 현재 연간 수출규모가 6억5천만달러나 된다. 하지만 정부는 2025년 흡연관련 질병으로 2백만명이 사망하게 될 것이라며 대대적인 금연운동을 벌이고 있다. 중국의 흡연인구는 갈수록 늘어 성인남자의 70%, 여자는 10% 가까이 담배를 피우고 있다. 세계 흡연인구의 3분의 1이 중국에 있는 셈이다. 이에 따라 버스, 비행기, 기차 등 교통수단은 물론 공공장소에서의 흡연을 금지하고 있고 인쇄물과 방송에서 담배광고를 불법화하고 있다. 지난 6월엔 북경시내 음식점, 가게의 광고포스터를 모두 금지시켰다. 이같은 금연운동에도 불구, 중국정부는 정작 담배산업에는 손을 못대고 있다. 오히려 CNTC는 필립 모리스 등 외국기업들과 제휴, 기술현대화를 꾀하며 생산확대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지난 92년부터 국내시장을 개방한 후 일본담배공사, RJ레이놀즈 등과의 경쟁이 치열해지며 이들 외국사의 국내지분이 4%에 이르고 있는 실정이다. 미국 담배생산의 3배인 연간 1조7천억개의 담배를 생산하는 CNTC는 50만명의 고용을 창출하고 있다. 특히 담배생산지역인 운남성과 귀주성은 성재정의 절반을 담배세로 거둬들이고 있는 실정이다.<이병관 기자>

관련기사



이병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