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은행서 연 40% 고금리 신용대출 상품도 판다

자회사 상품 판매대행 가능

앞으로 은행에서도 연 40%의 고금리 소액 신용대출 상품을 판매할 수 있게 된다. 금융위원회는 은행이 자회사의 대출상품 판매를 대행할 수 있도록 부수 업무를 확대한다고 9일 밝혔다. 이에 따라 우리은행은 지점을 통해 우리파이낸셜의 우리미니론을 최고 연 39%의 금리로 판매하고 하나은행도 하나캐피탈의 미니론을 최고 연 40%에 팔 수 있게 된다. 또 기업은행도 기은캐피탈의 소액 신용대출을 연 최고 39%, 신한은행도 신한캐피탈의 대출상품을 연 최고 40%의 금리로 판매하게 된다. 금융위는 은행이 서민금융 영업을 할 수 있는 길을 넓혀 대출 경쟁을 촉진하고 대부업체와 같은 사금융의 금리 인하를 유도할 것으로 기대했다. 또 과도한 판매 경쟁에 따른 소비자 피해를 방지하는 한편 은행이 아닌 자회사의 상품이라는 것과 대출 조건 등 약관 내용을 충분히 설명하도록 감독을 강화할 방침이다. 그러나 업계에서는 은행 창구에서 40%의 고금리 상품을 판다는 것과 소비자들이 은행에서 대출을 받는 것으로 오인해 과소비를 부추길 수 있다고 지적한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고객들은 같은 고금리로 대출을 받아도 은행 창구에서 1,000만원을 빌리는 것을 캐피탈ㆍ대부업체에서 1,000만원을 빌리는 것보다 나은 것으로 생각한다”며 “소비자들이 은행에서도 돈을 빌릴 수 있다고 자신의 신용을 과신하면서 무리한 대출과 소비에 나서는 부작용이 우려된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은행 자회사들이 대출금리를 더 낮추고 수수료를 없애야 한다고 지적한다. 한 대부업체 관계자는 “조달금리가 대부업체보다 낮은 저축은행과 여전사들이 수수료 등을 더해 실질적으로 대부업체와 같은 이자를 받는다”며 “낮은 비용으로 자금을 조달하고 은행 창구에서까지 상품을 팔면서 고금리에 높은 수수료까지 붙이는 것은 문제”라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