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中 내란설 강경 대응 나서

SNS 댓글 차단·유포자 구속·사이트 폐쇄…

중국 정부가 한 중화권 언론에 게재됐던 '내란설' 확산 책임을 물어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업체인 시나와 텐센트에 대해 지난달 31일부터 오는 3일까지 사이버 공간상에 댓글을 달지 못하도록 하는 조치를 취했다고 신화통신이 1일 보도했다. 또 내란설을 퍼뜨린 6명을 구속하고 관련 인터넷 사이트 16개를 폐쇄하는 등 강경 대응에 나섰다.

중국 국가인터넷신식판공실(SIIO)은 지난달 31일 'meizhou.net' 'xn528.com' 'cndy.com.cn' 등 일부 인터넷 사이트가 '군용 차량이 베이징에 진입했으며 베이징에서 뭔가 잘못된 일이 벌어지고 있다'는 조작된 루머를 퍼뜨렸다"고 밝혔다. 매체를 통해 공개된 내란설을 SIIO가 언급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앞서 지난달 20일 중국의 반체제 단체인 파룬궁이 미국에서 운영하는 매체인 대기원시보는 "최근 보시라이 전 충칭시 서기의 실각을 두고 중국 공산당 최고위층에서 무력 권력투쟁이 전개되고 있다"며 "정규군이 베이징으로 이동했고 베이징 무장경찰병력도 동원되는 등 중국에서 내란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고 보도한 바 있다. 중국 내란설은 이후 시나의 웨이보 등 중국 SNS를 통해 급속도로 인터넷을 타고 전파됐다. 시나와 텐센트는 7억명의 SNS 가입자를 확보하고 있다.

관련기사



중국 당국은 또 이와 별도로 지난 2월부터 유해정보를 인터넷상에 유포시켜온 1,065명을 체포했다고 밝혔다.

중국의 이 같은 강경 조치는 내란설이 사회안정에 위해를 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인터넷 통제를 강화하려는 포석으로 해석된다. 중국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는 지난달 31일자 논평에서 "잘못된 온라인 루머는 대중의 도덕심을 훼손시키며 통제권 밖으로 벗어날 경우 공공질서와 사회안정을 심각하게 해치게 된다"며 헛소문을 조작하고 퍼뜨린 사람은 법에 따라 처벌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병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