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김 국방 "천안함 침몰원인 버블제트 유력"

좌현 가로 3.2m, 우현 9.9m 유실…정부, 25~29일 국가애도기간 선포

민ㆍ군 합동조사단과 김태영 국방장관은 25일 '어뢰 등의 비접촉 수중폭발'로 천안함이 침몰됐을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천안함 함미 조사 뒤 침몰원인으로 수중폭발 가능성을 제기했던 민ㆍ군 합동조사단은 이날 인양된 함수 절단면을 조사한 결과 "비접촉 수중폭발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김태영 장관도 "(침몰원인이) 버블제트에 가장 가깝지 않나 생각한다"고 공식 언급, 정부 역시 비접촉 수중폭발로 천안함이 침몰한 것으로 잠정 결론냈음을 암시했다. 버블제트는 수중폭발 위치에 따라 수직이나 수평 등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날 수 있다는 게 군의 설명이다. 윤덕용 합동조사단 공동조사단장은 이날 오후 국방부에서 가진 기자단 브리핑에서 "선체 절단면 및 내ㆍ외부 육안검사 결과 선체 내ㆍ외부에 폭발에 의한 그을음과 열에 녹은 흔적이 전혀 없고 파공된 부분도 없어 비접촉 수중폭발로 판단했다"며 "폭발력의 위치와 위력은 정밀조사 및 시뮬레이션을 통해 분석 가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천안함의 좌현과 우현의 일부가 통째로 유실된 것도 비접촉 수중폭발의 근거로 제시됐다. 공동조사단장인 박정이 합참 전력발전본부장(중장)은 "실측 결과 좌현은 가로 3.2m, 우현은 가로 9.9m가 유실됐는데 이는 비접촉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뜻한다"면서 "터빈실이 있는 좌현의 하단 수중 어느 곳에서 폭발이 일어나면서 우현이 더 많이 유실, 손상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정운찬 국무총리는 이날 ‘천안함 사고와 관련해 국민 여러분께 드리는 말씀’의 대국민담화에서 “장례기간(25~29일)을 ‘국가애도기간’으로 선포하고, 영결식이 거행되는 4월29일을 ‘국가애도의 날’로 지정하겠다”고 밝혔다. 이명박 대통령은 천안함 희생장병 합동분양소를 곧 방문할 예정이며 어떤 시기에, 어떤 분양소를 찾을지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