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비주류가 장악… 당청관계 대변혁 예고

한나라 황우여 원내대표 체제 출범<br>수도권 소장파·친박계 의원들 지지로 친이핵심 눌러<br>총선 앞두고 "이대론 안된다" 위기 높아져 변화 선택<br>친이계 분열 가시화속 정부 기존 정책 변화 불가피

한나라당이 친박근혜 성향의 중립ㆍ비주류 후보를 원내대표와 정책위의장으로 선출함에 따라 앞으로 당내 역학관계는 물론 당청관계, 당권, 내년 총선과 대선구도에 적지 않은 변화가 예상된다. 특히 수도권 소장파와 친박계 의원들이 친이명박계 주류인 안경률ㆍ진영 의원 조, 이병석ㆍ박진 의원 조를 눌렀다는 것은 한나라당 의원들이 4ㆍ27 재보선 패배의 충격을 얼마나 심하게 느끼는지를 보여준다. ◇"이대로는 전멸" 위기의식으로 비주류 택해=인천이 지역구인 황우여 원내대표, 경남 마산이 지역구인 이주영 정책위의장 조가 1차 투표에서 64표를 얻어 유력후보였던 안ㆍ진 의원 조를 6표 차로 앞서자 의원들조차 "어어"하며 놀라는 모습이었다. 특히 결선투표에서 황ㆍ이 조가 90표로 안ㆍ진 조(64표)를 크게 앞선 것은 1차에서 이ㆍ박 조(33표)를 지지했던 이상득 의원계와 TK 표가 대부분 황ㆍ이 조로 이동했다는 것을 뜻한다. 내년 총선을 앞둔 의원들의 위기감이 그만큼 커 당내에 '바꿔' 열풍이 불었다는 것을 방증한다. 둘 다 판사 출신인 황ㆍ이 조는 PK를 비롯한 친박계의 암묵적인 지지에 정두언 의원과 '민본21' 등 수도권 소장파들의 지지를 얻어 이변을 연출했다. 황 원내대표조차 "당선될 줄 몰라 당선소감을 적어오지 못했다"며 "소장 의원들이 앞장섰는데 새로운 모습으로 하나가 되자"며 당내 화합과 변화를 다짐했다. 그동안 안ㆍ진 조는 현 정부의 핵심인 이재오 특임장관의 지원하에 '주류 책임론'을 내세우며 내년 총선 승리와 정권 재창출을 강조했으나 변화의 요구 앞에 맥없이 무릎을 꿇고 말았다. ◇친박계와 소장파 약진과 감세철회 등 정책기조 변화=4ㆍ27 패배 이후 '박근혜 역할론'이 제기되는 상황에서 황ㆍ이 조가 승리해 친이 주류 중심의 당내 역학관계에도 큰 변화가 예상된다. 이명박 정부 4년차를 맞아 청와대가 결정하고 당과 정부가 따르는 수직적 관계가 아니라 당이 청와대와 정부의 기존 정책에 상당한 변화를 요구할 것으로 보인다. 이 과정에서 박근혜 전 대표 등 친박계의 당내 위상이 커지며 중립계는 물론 친이계 의원들의 월박 현상이 가시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황 원내대표는 "이명박 정부의 승리를 위해 비주류에 기회를 주고 대통령의 리더십 스타일을 바꿔야 한다"고 말했다. 이 정책위의장은 "민주적인 당ㆍ정ㆍ청 시스템을 확립하고 당과 사전 협의 없는 정부의 정책발표와 입법을 절대 허용하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정부의 도덕적 해이와 정책실패 책임도 반드시 묻겠다"며 추가 감세 철회 등 서민중심의 정책정당 의지를 강조했다. 또한 '여당 단독처리'를 싫어하는 소장파의 지원이 많았다는 점에서 앞으로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비준안을 놓고 야당과의 협의과정에서도 변화가 예상된다. 그동안 당 안팎에서는 "당 정책위가 너무 무력하다. 청와대와 정부에 끌려다닌다. 이슈 선점을 못한다"는 비판이 무성했다. ◇당권, 총선, 대권 구도에도 영향 커=중립ㆍ비주류의 이번 승리는 오는 6월 말~7월 초 전대에서 결코 친이계가 지난해 7ㆍ14전대 때처럼 손쉽게 당권을 쥐기가 녹록하지 않다는 것을 시사한다. 물론 이 특임장관을 비롯한 친이계는 김무성 전 원내대표 등을 내세워 당권유지에 사력을 다할 것으로 보여 당권 경쟁이 불꽃을 튀길 것으로 보인다. 황ㆍ이 조의 당선은 내년 총선 공천에도 미묘한 변화를 몰고 올 것으로 보인다. 어차피 시대 흐름상 당원과 국민이 좌우하는 공천시스템이 마련되겠지만 기존 친이계 주도의 공천구도에도 제동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총선 이후 시작되는 대선 경선 레이스에서 박 전 대표는 현재의 불리한 당내구도를 상당 부분 만회할 계기를 마련했다는 평이다. 당권 유지를 바탕으로 김문수 경기지사 등 친이계 후보들을 박근혜 대항마로 키우려던 친이 주류로서는 적지 않은 타격이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 물론 황ㆍ이 조가 당의 중심에 진입함으로써 친박계와 소장파도 동반 책임지는 구도가 마련돼 친이 주류로서도 완전히 손해만은 아니라는 분석도 나온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